본문내용
1. 생활속의 경영학
1.1.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조직문화란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가치관, 신념, 행동양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강한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조직문화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는 구성원 간 지각의 일치성과 경영자-구성원 간 가치합의성이 있다. 구성원 간 지각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경영자와 구성원 간 가치 차이가 작을수록 강한 조직문화라고 할 수 있다.
조직성과는 재무적 성과와 함께 구성원의 직장생활만족, 조직몰입 등 심리적 성과를 포함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관계지향, 혁신지향, 과업지향 문화는 직장생활만족 및 조직몰입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경영자-구성원 간 가치합의성도 이들 심리적 성과와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
또한 직장생활만족 수준이 높은 고성과 기업 집단은 관계, 혁신, 과업 지향의 문화가 강하게 나타나는 반면, 저성과 집단은 위계지향 문화가 두드러진다. 이는 어느 한 특정 문화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문화 유형의 균형 있는 발전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실제 기업 사례를 보면, 포스코의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놀이문화, 웅진의 자유로운 역량 발휘 문화, 세스코의 직원 의식 고급화와 고객중심 문화 등이 조직성과 향상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요타의 과도한 자신감으로 인한 조직문화 실패 사례에서는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구성원의 심리적 성과를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업은 자사의 특성에 맞는 바람직한 조직문화를 체계적으로 관리·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1.2. 기업 사례 분석
1.2.1. 국내기업 사례
국내기업의 조직문화 성공 사례
포스코는 창의적 인재육성에 초점을 맞춘 놀이문화를 통해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갖추고 있다. 포스코는 '포레카(POREKA)'라는 휴식, 재미, 학습 공간을 마련하여 직원들이 자유롭게 휴식을 취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직원 동호회 활동을 적극 지원하여 직원들의 역량 및 창의력 향상, 조직의 활력 제고, 직원 유대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