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ACLS 개요
1.1. 심폐소생술의 구분
기본 심폐소생술과 전문 심장소생술로 구분된다. 기본 심폐소생술은 특별한 기구 없이 입과 손으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하는 것이다. 전문 심장소생술은 여기에 약물 투여, 심정지 원인 규명, 심전도 감시, 수동 제세동기 등의 특수 장비를 사용하는 소생술이다. 전문 심장소생술은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할 때까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처치를 포함한다. 전문 심장소생술은 의료진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4년부터 대한심폐소생협회와 미국심장협회의 국제교육협약으로 보급되고 있다. 돌발사의 대부분은 심정지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절한 조치를 통해 대부분의 경우 소생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도 향상되고 있다.
1.2. 전문 심장소생술(ACLS)의 필요성
전문 심장소생술(ACLS)은 기본 소생술(BLS)과 더불어 심정지 환자의 생명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다. ACLS는 약물 투여, 심전도 모니터링, 수동 제세동기 사용 등의 특수 처치를 포함하여 심정지의 원인을 규명하고 집중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돌발사의 대부분이 심정지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중 3분의 2 이상이 병원 도착 전 사망하므로 신속한 ACLS 제공이 중요하다.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 및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은 ACLS의 필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교육이 확대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ACLS는 심정지 환자의 생명 구조와 예후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전문소생술이다.
1.3. ACLS 시행 과정
전문심장소생술(ACLS)은 기본 심폐소생술의 토대 위에서 진행되며, 심정지의 신속한 인지와 응급의료체계의 활성화, 신속한 기본 심폐소생술, 신속한 제세동 및 약물치료를 통한 자발순환회복(ROSC), 전문기도처치와 생리학적 모니터링 등의 모든 과정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심정지 환자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미국심장협회에서는 1974년부터 의료인을 대상으로 전문심장소생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4년부터 대한심폐소생협회와 미국심장협회의 국제교육협약에 따라 전문심장소생술 교육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전문 심장소생술은 심정지가 발생한 사람에게서 관찰되는 심전도 리듬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심정지 초기에 관찰되는 심전도 리듬에는 심실세동(VF), 무맥성 전기활동(PEA), 무수축(asystole)이 있다. 심실세동의 가장 중요한 치료는 즉시 제세동기를 이용하여 제세동을 시도하고, 제세동 시행 후 2분간 가슴압박을 시행하며, 가슴압박을 하는 동안 에피네프린과 아미오다론을 투여한다. 무맥성 전기활동은 제세동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즉시 2분간 가슴압박을 시행하고 에피네프린을 주사하며,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