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미분적분학은 수학 교과 중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이는 대학 교육은 물론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여를 한다. 특히 미적분학 중간고사는 학생들의 수학적 개념 이해와 문제 해결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중요한 기회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미적분학 중간고사의 평가 계획과 교수-학습 지도 방안, 그리고 기대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미적분학 중간고사 평가계획
2.1. 평가의 목적
평가의 목적은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에 대한 이해와 수학적 사고 및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생의 성장을 도모하고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정보를 얻는 것이다.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균형 있게 활용하여 지식, 기능, 태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고, 수학에 대한 관심과 가치를 이해하며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를 신장시켜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평가의 기본방향은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 정보를 제공하여 학습과 성장을 돕고, 교수-학습을 개선하는데 활용하며, 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다. 지필평가는 60% 비율로 공동 출제하여 교과서 내용을 준수하고, 수행평가는 주제 탐구 보고서와 포트폴리오로 구성하여 객관성을 높인다. 지필평가에서는 서술형 문항을 20% 이상 출제하고, 학생이 배운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평가는 지필과 수행으로 구분하며, 학기 초에 평가 방식을 공개하고 학업성적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장이 결정한다.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세부적인 사항은 전라남도 학업성적관리 지침 및 규정을 따른다.
2.2. 기본방향과 방침
평가는 학생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 개개인의 수학 학습과 전인적인 성장을 돕고 교사의 교수 활동과 수업 방법을 개선하는 데 활용하며 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을 고려한다. 지필평가는 전체의 60%가 되도록 하며 공동 출제를 원칙으로 하고 수학 교과서 내용을 바탕으로 교과과정에 제시된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준수한다. 수행평가는 자신의 진로와 수학적 개념의 연관성에 관한 주제 탐구 보고서작성과 학업계획서를 기반으로 한 포트폴리오 평가 총 2가지 영역으로 평가에 관한 내용을 학생들에게 미리 공지하여 객관성을 높인다. 지필평가에서 서술형 문항은 20% 이상으로 하고 학생이 배운 학교 교육 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난 내용을 출제하여 평가하지 않도록 한다. 평가는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지필평가 및 수행평가의 영역·방법·횟수·기준·반영 비율 등과 성적 처리 방법 및 결과의 활용 등은 교과협의회에서 정하고, 이를 학업성적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장이 결정한다. 학기 초에 학생이나 학부모에게 학교 홈페이지, 학교 정보공시 등을 통하여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시기·영역·기준·방법 등을 사전에 공개한 후 평가를 시행한다. 이 외에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에 관한 세부 방침과 평가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