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SNS 알고리즘 중독 문제의 중요성
SNS 알고리즘 중독 문제의 중요성이다. 코로나 19 전파 방지를 위해 오프라인 활동이 제한되면서 상대적으로 온라인에서의 활동이 늘어났고, 비대면 활동방식인 메타버스가 주목받게 되었다. 소비심리 감소로 쌓여있던 돈이 온라인 활동에서의 투자로 이어져 메타버스가 주목받게 된 원동력이 되었다. 메타버스는 단순히 '개성 있는 아바타의 놀이터'가 아니라 '현실 세계와 동일한 경제활동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세상'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그러나 메타버스는 기존 플랫폼들을 그럴듯한 단어로 포장한 것에 불과하며, 담론적으로나 기술적으로 큰 진화를 이루지 못했다. 현실이 디지털 세계에 종속되어버릴 것이라는 우려가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메타버스와 관련된 제도적 규제와 기술적 제약, 윤리 이슈 등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1.2. 가상현실의 급진적 발전과 단점
가상현실의 급진적 발전과 단점이다. 코로나 전파방지를 위해 사람들의 오프라인 활동이 제한받아 상대적으로 온라인에서의 활동이 늘어났고,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비대면 활동방식인 메타버스가 주목받게 되었다. 소비심리도 줄어들면서 쌓여버린 돈이 온라인 활동에서의 투자로 이어졌던것도 현재 메타버스가 주목받게 된 원동력 중 하나이다. 그러나 코로나가 종식되거나 더 이상 심각한 유행병이 아니게 되어버린 미래의 세상에서도 과연 지금처럼 메타버스 세계가 지속될지는 의문이다. 메타버스가 단순히 '개성 있는 아바타들의 놀이터'가 아니라 진정한 의미에서 '그 자체로 완전한 다른 세상'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현실 세계와 동일한 경제활동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기존 플랫폼들을 그럴듯한 단어로 포장한 것에 불과하다. 2020년대의 메타버스 유행은 기술의 정교화 외에는 2003년의 세컨드 라이프에서 혁신적으로 발전한 것이 없으며, 1980년대부터 나온 수많은 사이버 펑크나 공상과학에서 더 발전한 것도 없다. 현실이 디지털 세계로 확장되다 못해 아예 종속되어버릴 것이란 담론은 인터넷 발명 이래, 수없이 반복되어왔지만 여전히 메타버스·NFT·블록체인 등과 관련된 제도적 규제가 부족하고 기술적 제약, 사행성 이슈, 메타버스 내의 윤리 이슈가 팽배한 현 상황에서 메타버스를 통한 변화의 회의적인 시각이 반드시 필요하다.
1.3. 메타버스에 대한 회의적 시각
메타버스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다. 메타버스가 단순히 '개성 있는 아바타들의 놀이터'가 아니라 진정한 의미에서 '그 자체로 완전한 다른 세상'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현실 세계와 동일한 경제활동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메타버스는 이미 등장한 온라인 게임, SNS, 메신저, 증강현실 등과 크게 차별화되었다 볼 수 없으며, 기존 플랫폼들을 그럴듯한 단어로 포장한 것에 불과하다. 현실이 디지털 세계로 확장되다 못해 아예 종속되어버릴 것이란 담론은 인터넷 발명 이래, 수없이 반복되어왔지만, 디지털 공간에서의 사회·경제 활동은 이미 기존의 게임, 인터넷 게시판, 쇼핑 플랫폼, SNS 등이 충실히 수행 중이므로 메타버스가 새로운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아직도 메타버스·NFT·블록체인 등과 관련된 제도적 규제가 부족하고 기술적 제약, 사행성 이슈, 메타버스 내의 윤리 이슈가 팽배한 현 상황에서 메타버스를 통한 변화의 회의적인 시각이 필요한 실정이다.
2. 본론
2.1. 개인정보 침해 문제
2.1.1. 외부에서 수집되는 개인정보 침해
메타버스는 가상현실 속에서도 개인의 정보가 수집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먼저 메타버스에서는 사용자가 무엇을 하고 누구와 대화하며, 어떻게 아바타와 개인 공간을 꾸미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수집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연령대별 소비 패턴, 관심 분야, 언행 등의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 수집이 개인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것은 아니지만, 관점에 따라서는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세계에서는 사용자의 시선 이동이나 심리 상태까지 분석할 수 있어,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크다. 제삼자가 개인의 행동과 심리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메타버스 상에서는 기존의 온라인 트래킹을 넘어서는 개인정보 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메타버스의 발전 과정에서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쟁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2.1.2. 해킹으로 인한 데이터 수집
해킹으로 인한 데이터 수집은 메타버스의 심각한 문제점 중 하나이다. 메타버스 세계에서 개인의 캐릭터가 해킹당한다면 본인의 몸의 주권이 뺏기고 이로 인해 본인이 본인이 아니게 될 가능성이 있다. 메타버스 세계 내에서 경험했던 가상의 장소는 어디이고, 시간은 얼마나 사용했는지, 대화를 나눈 상대방은 누구이며 어떤 대화를 나누었는지, 이용자의 시선 이동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가 모두 기록으로 남을 수 있다. 제3의 보이지 않는 존재가 개인의 사생활을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단순한 온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