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독서지도론 다문화가정 주부 대상 프로그램 작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다문화가정 주부를 위한 독서지도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과 배경
2. 본론
2.1. 다문화가정 주부의 독서 실태 분석
2.2. 한글 문해력 향상을 위한 독서지도 프로그램
2.2.1. 자음과 모음 학습
2.2.2. 존칭어 익히기
2.2.3. 설 명절 문화 체험
2.3. 독서지도 프로그램의 기대 효과
3. 결론
3.1. 요약 및 시사점
3.2. 향후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다문화가정 주부를 위한 독서지도의 필요성
다문화가정 주부를 위한 독서지도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 사회는 한 사회 안에 서로 다른 인종과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이다. 이는 단순히 다른 민족이 함께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각기 살아온 삶의 방식이 다른 점에서 한 사회 내에서 서로의 문화의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하려는 것이다. 현재 한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은 전체 인구의 약 4.3%로 다양한 국적과 문화권의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함께 살아가려면 사회, 인종, 문화 등의 배경이 다른 다문화 사회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오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문화 간 의사소통이 요구된다. 즉, 상대방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과 자세 그리고 다문화 사회를 어울려 살아가는 삶의 태도가 바로 슬기롭게 의사소통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과거 한국의 위상이 세계적으로 높지 않았던 시대에 이주한 다문화가정의 주부들은 한국어에 상당히 서툴러서 이로 인해 자녀들에 대한 한국어 학습을 비롯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을 적극적으로 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현재 한국의 한류문화열풍으로 시작된 한국의 K-pop 문화의 성공으로 인해 한국으로 이주한 다문화가정 주부들 중에서는 상당수 한국어 학습을 진행한 상태에서 이주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과거와 같이 다문화가정 주부들이 반드시 한국어 문해력이 낮은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주부들의 경우 결혼이주 또는 취업을 위해서 이주한 경우가 상당하여 이들의 경우 한국어에 서툰 경우가 상당하며, 이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교육적 측면에도 부정적 영향을 제공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지원이 요구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주부들의 문해력 향상을 위한 독서지도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
1.2. 연구의 목적과 배경
다문화가정 주부의 독서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지도 ...
참고 자료
독서지도론 강의안
장은영 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서울, 2012
서울신문(김기중 기자), ‘다문화가정 보유 도서 10권 미만 36.6%’, 2023. 03.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