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본간호학 투약오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투약
1.1. 약물과 투약
1.2. 투약 간호과정
2. 투약오류
2.1. 정의 및 유형
2.2. 투약오류 사례
2.3. 문제점 분석과 해결방안
2.4. 결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투약
1.1. 약물과 투약
약물은 인체에 유용한 작용을 하도록 하는 화학물질이다. 약물을 투여하는 행위를 투약이라 하며, 약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된다. 약물은 성분, 작용, 투여경로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약물의 이름은 속명, 화학명, 상품명 등으로 구분되며, 국가별로 표준화된 기준에 따라 관리된다.
약물투여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이루어지며, 간호사는 처방된 약물을 대상자에게 투여하고 관찰하는 역할을 한다. 약물의 작용은 치료효과와 부작용으로 나타나는데, 약물에 대한 반응은 개인차가 크게 나타난다. 약물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발달단계, 성별, 유전적 요인, 식이, 환경, 심리적 요인, 질병 상태 등이 있다.
약물 용량은 미터법, 약국액량법, 가정용 액량법 등의 단위로 표시되며, 용량 계산 시 서로 다른 단위 간 환산이 필요하다. 특히 아동과 노인의 경우 약물 대사 능력이 낮아 투여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또한 마약류 약물의 경우 엄격한 관리 지침이 적용된다.
약물 투여와 관련된 간호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투약력, 알레르기, 식이 등의 정보를 사정하고, 약물 투여 전 정확성을 확인하며, 투여 후 반응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또한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약물에 대한 정보를 교육하고, 안전한 투약을 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1.2. 투약 간호과정
간호사는 투약 전에 대상자의 사정을 통해 안전한 투약을 준비한다. 첫째, 약물에 대한 대상자의 과거력을 사정한다. 대상자의 약물 알레르기 여부, 투약력, 식이력 등을 확인하여 투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 인지 및 조정 능력을 확인하여 자가투약이 어려운 경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족이나 친지가 있는지 확인한다. 셋째,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를 사정하여 약물 투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한다. 넷째, 대상자의 약물에...
참고 자료
이순영, 간호사의 투약오류 분석 및 개선방안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8
배형기,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투약근접오류 경험의 관계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정선영, 김영혜, 강인순, 손현미. 일 대학병원의 간호사와 의사의 투약오류와 투약오류 보고에 대한 인식 2013
https://www.law.go.kr/판례/(2005도8980)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582
https://www.nocutnews.co.kr/news/668838
간호사가 인지한 투약오류관리풍토와 오류보고의도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 김명수, 성인간호학회지, 2013, 56(6), p2-10
양선희 외(2021) 제4판 기본간호학2, 현문사, 264~302쪽
송경애 외(2023) 기본간호학2, 수문사, 290~321쪽
학위논문 - 투약오류 유형분석 및 간호사의 투약오류 경험/백영심
투약오류 사례 -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12703
고위험약물 보관지침 - https://www.kpanews.co.kr/article/show.asp?idx=21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