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투약
1.1. 약물과 투약
약물은 간호실무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요하고 필수적인 간호업무이므로, 간호사는 약물의 작용, 효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투약해야 한다. 대상자에게 안전하고 정확하게 투약하기 위해서 간호사는 약물역동학, 성장과 발달, 인체해부학, 영양, 계산법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약물의 이름에는 속명(generic name), 약전명(official name), 화학명(chemical name), 상품명(trade name)이 있으며, 이 모두 약물을 구분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약물은 신체기관에 미치는 효과, 약물이 완화시키는 증상, 기대효과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약물은 물약, 가루약, 알약 등의 다양한 유형으로 조제되어 투여경로에 따라 적절한 투여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대한민국은 식품의약품안전처(KFDA)가, 미국은 FDA(Food & Drug Administration)가 약물의 표준을 정하고 있으며, 약물의 처방 책임은 의사에게, 약의 조제 의무는 약사에게, 처방된 약을 투여하고 투여 후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반응을 평가하는 것은 간호사의 책임이다.
약물은 치료 효과, 부작용, 유해작용, 독작용, 특이체질 반응, 알레르기 반응, 약물 내성, 축적작용, 의원성 질환, 약물 상호작용 등 다양한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약물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발달단계, 성별, 문화, 인종, 유전적 요인, 식이, 환경, 심리적 요인, 질병 등이 있다.
투약 시 반감기에 따른 약물농도 변화와 약물역동학적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약물 용량 계산 시 미터법, 약국 액량법, 가정용 액량법 등을 활용하며 특히 아동과 노인에서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마약류 관리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2. 투약 간호과정
간호사는 투약 전 대상자의 병력을 사정하여 검토한다. 대상자의 알레르기 기왕력, 투약력, 식이력을 확인하여 안전한 투약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한다. 또한 대상자의 인지 및 조정능력, 현재 상태, 투약에 대한 태도와 지식을 파악하여 투약 계획을 수립한다.
대상자의 건강증진을 위해 간호사는 투약의 이점과 정확한 투약의 중요성을 교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