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ESG의 개념과 등장배경
1.1. ESG의 정의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란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더불어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의 비재무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경영방식이다. 이는 기업이 단순히 이윤 창출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즉, 기업은 단순히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사회적 가치 창출, 투명한 지배구조 구축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ESG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ESG 경영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1.2. ESG 경영의 등장배경
ESG는 1987년 발표된 브룬트란트 보고서를 통해 지속가능성이 전 세계적 주요 의제로 등장하였고, 투자 및 자산 운용에 ESG를 고려한다는 UN PRI 발표 이후 ESG가 지속가능 경영의 핵심 지표로 부상하였다. 기존 재무적 관점의 경영전략에서는 재무성과를 창출하는 데 주력하며 재무제표 공시를 통해 성과를 외부에 공표하였으나, ESG는 대표적인 비재무성과로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공시와 ESG 콘텐츠를 통해 그 성과를 외부에 알리게 되었다. 이처럼 ESG 개념은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기업들의 경영 전략 이론에서 등장했으며, 변화되는 환경 속에서 장기적인 이윤 추구를 위해선 기업 내 체계만이 아닌 주위 이해관계자들과 환경, 사회, 지배구조 또한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로 현재 국제 사회는 이 개념을 차용해 'E'에 중점을 두어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추구하자는 의미에 집중하고 있다.
1.3. ESG의 중요성
기업이 사회와 환경을 얼마나 고려하는지를 나타내는 ESG는 기업의 올바른 경영활동 여부와 위험에 대한 대처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환경적 측면에서 기후위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환경보호에 동참하고 있으며, 투자자들도 기업의 탄소중립 달성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인권 및 평등이 강조되면서 이를 보장하는 기업의 활동이 중요해졌다. 기업 지배구조 측면에서도 투명성 있는 재무정보 공시와 전문경영인 체제가 요구된다. ESG를 실천하는 기업은 투자유치와 고객 신뢰도 향상, 브랜드 가치 제고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어 기업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이처럼 ESG는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 국내 기업의 ESG 경영 사례
2.1. IT업계 - 네이버, 카카오, 삼성SDS
네이버, 카카오, 삼성SDS의 ESG 경영 사례
네이버는 주요 플랫폼 사업 파트너인 중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탄소 중립(Carbon Negative) 목표를 수립하여 환경 부문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카카오는 디지털 사회에서의 책임성 강화를 발표하였고, 지속가능한 지구 환경 조성을 제시하였다. 삼성SDS는 스팸 탐지 기술 정교화 등 스팸 관련 제도와 시스템 개선을 검토하고 있다.
네이버는 중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중요한 ESG 경영 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환경 보호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카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