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임신성 자궁경부무력증의 정의와 원인
정상 임신 동안 자궁 경부는 태아와 자궁의 크기 변화와 관계없이 단단하고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임신 말기 및 분만 때가 되면 자궁 경부는 부드러워지고 길이가 짧아지면서 태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즉, 임신 동안 태아를 자궁 내 유지하는 자궁 경부의 능력을 자궁 경부 적격 능력이라고 하고 임신 중 자궁 경부가 이러한 역할을 유지하지 못하여 임신 도중 자궁 문이 열려서 양수 파수 및 태아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이러한 경우를 자궁경관무력증(Incompetence Internal Os of Cervix)이라고 한다.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은 크게 선천적 요인, 후천적 요인, 생리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선천적 요인에는 자궁경관 및 자궁내구의 fibromusculature(섬유근육)에 선천적인 무력증이 있는 경우와 자궁기형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후천적 요인으로는 산과적 및 부인과적 수술, 자연적인 산과적 열상, 진단목적 또는 치료목적의 소파술 시 과도한 자궁경관의 기계적 확장, CIN(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시의 원추절제술 후 등이 포함된다. 생리적 요인으로는 쌍태임신 등의 자궁이 정상 단태임신에서보다 클 경우 자궁이 늘어나면서 과다한 압력이 자궁경관에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1.2. 임신성 자궁경부무력증의 증상 및 진단
자궁경부무력증은 정상 임신 동안 자궁 경부가 단단하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임신 중 자궁 경부가 이러한 역할을 하지 못하여 양수 파수 및 태아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임신성 자궁경부무력증의 증상에는 아래로 빠질듯한 질 압박감, 자궁경부의 개대로 양막이 밀려나오거나 양막 파수, 질 출혈 및 점액질 같은 질 분비물의 증가, 요통과 간헐적인 자궁 수축 등이 있다.
임신성 자궁경부무력증의 진단에 있어서 아직 객관적인 진단 소견이 없어, 임상적 과거력과 진찰, 검사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과거력상 임신 중반기 이후 자연 유산이나 조산의 경험이 1회 이상이면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질식 초음파로 자궁경부 길이의 감소와 확장을 관찰하거나, 자궁경부 진찰을 통해 길이, 경도, 개대 정도, 방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1.3. 임신성 자궁경부무력증의 치료 방법
임신성 자궁경부무력증의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된다. 비수술적 치료로는 침상안정과 수액요법이 있다. 수술적 치료에는 질식 경관 봉합술과 복식 수술 방법이 있다.
질식 경관 봉합술에는 맥도날드(McDonald) 봉합술과 쉬로드카(Shirodkar) 봉합술이 있다. 맥도날드 봉합술은 자궁경부 점막 위에서 band나 비흡수 봉합사로 원주봉합을 만드는 방법이고, 쉬로드카 봉합술은 자궁경부 점막 밑으로 원주봉합을 만드는 방법이다.
임신 14주에서 16주 사이에 시행되는 이런 질식 경관 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