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보육과정 평가의 개념과 중요성
1.1. 보육과정 평가의 정의
보육과정 평가란 조직한 활동경험이 실제로 의도한 목표를 얼마나 달성하고 있는가를 조사하는 과정으로, 계획의 강점과 약점을 찾아내는 것이자 교육과정의 기본 설계가 타당한 가를 묻는 것이다""
1.2. 보육과정 평가의 목적
보육과정 평가의 목적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보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평가가 필요하다. 보육과정 평가를 통해 보육 계획의 적절성, 교수-학습 과정의 효율성, 보육과정 운영의 적절성 등을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육과정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둘째,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위해 보육과정 평가가 필요하다. 보육과정 평가를 통해 영유아의 발달 수준과 요구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부모에게 영유아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보육과정 평가가 필요하다. 보육과정 평가를 통해 얻은 정보를 부모와 공유함으로써 영유아의 발달 상황을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다.""
2. 보육과정 평가 방법
2.1. 관찰법
2.1.1. 관찰법의 특징과 장단점
관찰법은 영유아의 행동을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영유아가 보여주는 여러 가지 상황이나 활동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자세히 관찰하고 기록·분석함으로써 영유아의 발달 및 행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교육의 대표적인 평가방법이다. 이러한 관찰법은 대체로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측정방법이며, 만약 도구를 사용해도 측정 대상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관찰자의 훈련과 기술에 의존하는 바가 매우 큰 평가방법이다.
관찰법의 특징과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찰법은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서 조사나 실험보다 더욱 유용한 방법이다. 특히 조사 장면에서 피험자의 허구적인 반응이나 실험장면에서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반응 대신에 피험자의 있는 그대로를 관찰할 수 있다. 둘째, 어떤 문제의 사태나 관찰 대상의 행동이 발생함과 동시에 기록되어질 수 있어, 비교적 자세하고 풍부하며 생생한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보다 체계적인 실험 연구를 위한 연구가설 설정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관찰법은 관찰 대상의 고의적인 방해를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관찰의 성패 여부는 관찰 대상의 능력, 협조심, 저항감, 성격, 기분과 같은 조건에 의해서 좌우되지 않고 다만 관찰자의 관찰 능력에 의해서만 좌우된다. 넷째, 관찰법은 관찰대상의 능력이나 교육정도에 제한받지 않는다. 연령, 학력, 그리고 사회적 지위·경제적 지위를 막론하고 어떠한 대상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즉, 언어적 의사표현능력이 없는 영유아까지도 좋은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다섯째, 관찰대상과의 친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심층적인 자료 수집이 가능하다.
그러나 관찰법은 관찰 능력 및 기술이 우수하여야 영유아의 행동과 발달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으며, 영유아가 왜 그런 행동을 보이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되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2.1.2. 관찰법의 유형
관찰법의 유형은 표본기록, 일화기록, 표집법, 체크리스트, 평정척도 등으로 구분된다"" 표본기록법(specimen description)은 행동의 일화를 가장 자세하고 완전하게 표현하는 관찰방법이다. 관찰자가 관찰대상이나 장면을 미리 정해 놓고 그 장면에서 일어나는 영유아의 행동과 상황을 모두 집중적으로 기술한다. 따라서 표본기록법은 현장에서 관찰할 때 어떤 부분만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를 기록하는 것이다""
일화기록(anecdotal records)은 짧은 내용의 사건이나 우발적 행동에 대한 사실적인 기록이다. 사건이나 행동을 기록하되 마치 사진을 보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