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초제저항성 잡초의 발생 및 피해현황

  • 1
  • 2
  • 3
  • 4
  • 5
  • 6
>

상세정보

소개글

"국내 제초제저항성 잡초의 발생 및 피해현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제초제 저항성 잡초
2.1. 제초제 저항성이란
2.2.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 현황

3. 국내 제초제 저항성 잡초
3.1. 물달개비
3.2. 물옥잠
3.3. 가막사리

4. 제초제 저항성 잡초 관리 대책
4.1. 작물 윤작 및 제초제 교호 사용
4.2. 제초제 사용량 최소화
4.3. 재배 방법 변경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잡초방제학은 인간이 농업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피해를 주는 식물인 잡초를 경제적으로 방제하는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이러한 잡초방제학을 잡초과학(weed science) 또는 잡초학(雜草學)이라고 부른다. 이에 잡초방제학은 잡초의 생물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여기서 잡초생물학(weed biology)이란 잡초의 발아부터 성숙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하나의 생물로 간주하여 연구하는 것으로 식물학, 식물분류학, 해부 및 형태학, 식물생리학과 연관된다. 따라서, 잡초방제학은 농경지를 기반 위에 잡초와 작물의 존재 하에서 제초제라는 화학물질을 활용하여 경제적으로 잡초를 방제하는 분야를 이해하는 학문인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현황 및 피해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관리대책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2. 제초제 저항성 잡초
2.1. 제초제 저항성이란

제초제 저항성이란 농업적으로 추천된 제초제 처리농도에 효과적으로 방제되던 잡초 가운데 연용으로 인해서 방제되지 않고 생존하거나 번식하는 생태형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초제 저항성 잡초들은 유전 능력을 가지고 있다.

제초제 저항성에는 교차저항성, 다중저항성, 부정적 교차 저항성이 있다. 교차 저항성은 한 종류의 잡초가 두 개 이상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을 말하고, 다중저항성은 저항성 생태형이 2개 이상의 분명한 저항성 메커니즘을 지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정적 교차저항성은 제초제 저항성 생태형에 상이한 작용기작이나 분해 과정을 가진 제초제를 처리함으로써 감수성이 증가되는 현상을 말한다."


2.2.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 현황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 세계적으로 2021년 현재 21계열의 제초제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잡초 생태형이 총 502종(단자엽 263종, 쌍자엽 239종)이 보고되었다. 특히 논에서는 제초제 연용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30종의 저항성잡초 생태형이 보고되었으며, 피 속의 서로 다른 9종이 여러 제초제 저항성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122초종, 호주가 89초종, 캐나다가 50초종, 브라질이 47초종, 중국이 40초종, 일본이 35초종, 프랑스가 32초종, 아르헨티나가 28초종, 이탈리아가 25초종, 인도가 3초종, 러시아가 1초종으로 보고되었다. 한국의 경우 15초종의 제초제 저항성잡초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렇게 제초제 저항성 잡초가...


참고 자료

경북대학교 출판부, 「최신잡초방제학원론」, 2021
하헌영 저, ‘국내 논잡초의 발생분포 및 제초제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대전, 2017
논잡초 관리 길잡이/황재복,김진원,이인용/농촌진흥청/2020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MONO12021000003305&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t=%EB%85%BC%EC%9E%A1%EC%B4%88+%EA%B4%80%EB%A6%AC+%EA%B8%B8%EC%9E%A1%EC%9D%B4%3AALL_NI_TOC%3AAND&prevPubYearFieldText=&languageCode=&synonymYn=&refineSearchYn=&pageNum=&pageSize=&orderBy=&topMainMenuCode=&topSubMenuCode=&totalSize=2&totalSizeByMenu=2&seqNo=&hanjaYn=Y&knowPub=&isdb=&isdbsvc=&tt1=&down=&checkedDbIdList=&baseDbId=&selectedDbIndexIdList=&caller=&asideState=true&dpBranch=ALL&journalKind=&selZone=ALL_NI_TOC&searchQuery=+%EB%85%BC%EC%9E%A1%EC%B4%88+%EA%B4%80%EB%A6%AC+%EA%B8%B8%EC%9E%A1%EC%9D%B4
물달개비, 물옥잠, 가막사리, 미국가막사리/농업과학기술원/한국작물보호협회/2001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c9e27b1f41483311c85d2949c297615a&keyword=%EB%AC%BC%EB%8B%AC%EA%B0%9C%EB%B9%84%20%EB%AC%BC%EC%98%A5%EC%9E%A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