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 근골격계질환 QI"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 근골격계질환 QI
1.1. 주제 선정 배경
1.2. 문제 분석 및 해석
1.3. 현황 파악
1.4. 개선 계획
1.5. 기대결과
1.6. 참고문헌
2. 질 향상활동 계획서
2.1. 주제명
2.2. 선정 배경 및 문제 기술
2.3. 팀 구성
2.4. 지표
2.5. 개선활동내용
2.6. 예상 되는 결과
3. 교육일정
3.1. 교육일정
3.2. 병원 역사
3.3. 병원 미션/비전
3.4. 병원 현황
3.5. 기구조직/협력기관
3.6. 병원구조
3.7. 간호부 미션/비전
3.8. 간호부 운영목표
3.9. 간호부 조직도
3.10. 건강한 일터
3.11. 복리후생
3.12. 교육 소개
3.13. 의료진 간의 정확한 의사소통
3.14. 환자 권리 교육
3.15. 환자 안전(낙상, 욕창, 화재, 감염) 교육
3.16. 성폭력 예방 교육
3.17. 의약품 관리
3.18. 단체사진 촬영 및 귀가
3.19. 출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 근골격계질환 QI
1.1. 주제 선정 배경
본 병동 내 업무 상 특징은 응급으로 들어오는 환자들에게 임시적으로 병상을 제공한 후, 주로 다른 병동에 전동을 시켜야 하는 병동으로, 환자에게 필요한 검사가 많고 환자의 진료과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간호사들은 정확한 시기에 검사를 보내고, 환자를 받고, 병동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직무관련 스트레스가 높은 경향이 있으며, 환자에게 정맥주사 및 간호 처치를 할 때 불안정한 자세 등으로 인한 근골격계의 손상 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장시간 근무 동안 간호사들은 허리를 두드리거나 Nursing Cart에 기대는 등의 행동을 보였으며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으로 발생하는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는 등의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1.2. 문제 분석 및 해석
간호사들의 근골격계 증상은 주로 허리와 어깨 부위에서 많이 발생한다. 간호사의 목/어깨 통증은 근무기간이 길수록, 업무량이 많을수록 통증의 발생 빈도가 높으며, 직무와 관련된 작업동작과 자세가 통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생활 습관 측면에서 흡연, 음주 등을 할수록, 수면시간이 적을수록 통증이 증가된다. 정서적 긴장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또한 목/어�shoulder 통증을 증가시키고 상지기능의 저하를 유발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국내 직무 관련 근골격계 질환 발생률은 2014년도에 27.2%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보건의료계열 종사자는 전체 업종별 근골격계 질환 발생 비율 중 상위 5위를 차지할 만큼 직무 관련 근골격계 질환 발생률이 높다. 간호인력의 업무 관련 손상 분석 결과, 2000년~2012년까지 감염성 질환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질환군이 근골격계 질환이다. 간호사들은 인구 사회적 특성, 건강 형태, 업무와 관련된 불안정한 작업 자세나 과도한 힘의 사용 등 인체 공학적 작업요인들과 관련이 있다.
설문 조사에 응답한 간호사 10명 중 8명이 지난 1년 동안 근골격계 질환 증상을 느꼈다고 답했다. 매일 1회 이상 또는 항상 증상이 있다는 비율이 46%였다. 증상이 나타난 부위는 어깨(61%)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 다리 · 발(55%), 허리(51%), 목(42%), 손목 · 손 · 손가락(38%), 팔꿈치(21%) 순이었다. 증상의 정도는 업무 중에는 증상이 있으나 퇴근 후 휴식을 취하면 나아지는 수준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절반 정도였다. 휴식을 취한 후에도 증상이 심하다고 답한 경우는 해당 신체 부위별로 14~36% 수준이었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 때 근골격계 질환 증상이 있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직무요구, 조직체계, 통합심리요인, 보상, 관계갈등 요인이 높을 때 유의하게 높았다. 현재 몸 상태가 좋지 않고 휴식 시간이 부족할 때에도 증상의 경험 비율이 높았다.
1.3. 현황 파악
국내 직무 관련 근골격계 질환 발생 단위(%)는 2014년도에 27.2%로 확인되었다. 특히 보건의료계열 종사자는 전체 업종별 근골격계 질환 발생 비율 중 상위 5위를 차지할 만큼 직무 관련 근골격계 질환 발생률이 높다.
간호인력의 업무 관련 손상 분석 결과, 2000년~2012년까지 감염성 질환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질환군이 근골격계 질환이다. 간호사들은 인구 사회적 특성, 건강 형태, 업무와 관련된 불안정한 작업 자세나 과도한 힘의 사용 등 인체 공학적 작업요인들과 관련이 있다.
설문 조사에 응답한 간호사 10명 중 8명이 지난 1년 동안 근골격계 질환 증상을 느꼈다고 답했다. 매일 1회 이상 또는 항상 증상이 있다는 비율이 46%였다. 증상이 나타난 부위는 어깨(61%)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 다리·발(55%), 허리(51%), 목(42%), 손목·손·손가락(38%), 팔꿈치(21%) 순이었다. 휴식을 취한 후에도 증상이 심하고 업무에 지장이 있을 정도라고 답한 비율이 높은 부위는 다리·발, 어깨, 허리 순이었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 때 근골격계 질환 증상이 있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직무요구, 조직체계, 통합심리요인, 보상, 관계갈등 요인이 높을 때 유의하게 높았다.
1.4. 개선 계획
- 병동 내의 간호사 및 병동 내 직원을 대상으로 시행할 것이다.
- 앱을 기반으로 간호사들이 평소에 알고 싶어했던 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관심을 갖을만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부위별로 운동 영상을 제작하여 직무 중에도 간간히 운동할 수 있도록 활동을 진행할 것이다. 또한 운동을 시행할 때 자신이 원하는 배경음악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이어리나 SMS를 통해 스스로 목표량을 제시함을 통해 운동을 하는 동기부여를 높일 것이다.
- 컴퓨터 데스크 등에 올바른 자세와 관련한 포스터나 지침 등을 붙여 놓아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인계할 때 공지사항에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앱 사용/서로의 자세가 어느정도 교정이 되고 좋아졌는지 등에 대해 피드백 시간을 가져보는 등의 시간을 갖도록 할 것이다.
- 병원 내 교육을 개최해, 간호 업무 중 효과적으로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자세 등을 교육시킴으로 근골격계의 손상을 예방할 것이다.
- 다이어리를 통하여 출석률과 운동량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 활동의 효과성을 확인할 것이며, 설문 조사를 통해 직무 중 근골격계 관련 통증의 호소 정도를 파악하여 본 활동의 효과성을 파악할 것이다.
이 활동을 통해 간호사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유연성의 증가로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피로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간호사들에게 근골격계 예방을 위한 자세를 교육시키고 위험 요인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이는 간호사의 업무 관련 질병을 예방함으로써 지출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간호사의 업무 효율을 증가시켜 병원이 추구하는 환자 만족을 시행하는 병원으로 이끌어 나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1.5. 기대결과
이 활동을 통해 간호사는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유연성의 증가로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간호사들에게 근골격계 예방을 위한 자세를 교육시키고 위험 요인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이는 간호사의 업무 관련 질병을 예방함으로써 지출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간호사의 업무 효율을 증가시켜 병원이 추구하는 환자 만족을 시행하는 병원으로 이끌어 나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1.6. 참고문헌
참고문헌
수술실 간호사를 위한 앱 기반 근골격계 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남화원, 2016)이다. 간호사의 목?어깨 통증 관련요인(임선경, 2017)이다. 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참여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이종은, 2007)이다. 그리고 간호사 10명 중 8명 근골격계질환 증상 경험(김정미, 2012-02-21)을 참고하였다.
2. 질 향상활동 계획서
2.1. 주제명
주제명
간호사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질 향상 활동이다.
이 질 향상 활동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자기 효능감과 유연성을 증가시켜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피로감을 줄이는 것이다. 또한 간호사의 업무 효율을 높여 병원의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간호사의 근골격계 질환은 주로 허리와 어깨 부위에서 많이 발생하며, 이는 직무 관련 요인, 신체적 요인, 그리고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국내 직무 관련 근골격계 질환 발생률은 2014년 기준 27.2%이며, 보건의료계열 종사자가 전체 업종별 상위 5위를 차지할 만큼 높은 수준이다. 실제로 간호사 10명 중 8명이 지난 1년 간 근골격계 질환 증상을 경험하였고, 이 중 46%는 매일 증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따라 본 질 향상 활동에서는 간호사와 환자의 건강한 병원 만들기를 목표로 다음과 같은 활동을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근골격계 작업환경 전문가와 함께 업무환경을 점검하고 무리가 가는 요인들을 개선한다. 또한 간호사들의 업무 특성과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작업환경을 보완할 것이다.
둘째, 근골격계 전문가를 초청하여 간호사들에게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대한 정보와 운동법을 교육할 것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근골격계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간호사들이 업무 중에도 쉽게 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셋째, 근골격계 질환 증상이 있는 간호사들이 전문가의 상담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계 체계를 마련할 것이다. 이를 통해 증상 관리와 치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질 향상 활동을 통해 간호사들의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피로감이 감소하고, 근골격계 예방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유연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업무 효율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병원의 환자 만족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2. 선정 배...
...
참고 자료
수술실 간호사를 위한 앱 기반 근골격계 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남화원, 2016)
간호사의 목∙어깨 통증 관련요인(임선경, 2017)
"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참여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국내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이종은, 2007)
수술실 간호사를 위한 앱 기반 근골격계 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남화원, 2016)
간호사의 목∙어깨 통증 관련요인(임선경, 2017)
김정미, 간호사 10명 중 8명 근골격계질환 증상 경험, 간호사신문, 2012-02-21, http://www.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61&idx=6585, 2020-05-27
구글, “의료기관 화재 안전관리 메뉴얼”,
https://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cad=rja&uact=8&ved=2ahUKEwjc9c_j7urzAhVOE6YKHddGCJQ4ChAWegQIHBAB&url=https%3A%2F%2Fwww.kaog.org%3A4430%2FINC%2Fdownload.php%3Fcode%3Dsub_0301%26number%3D17783%26filenum%3D2&usg=AOvVaw2xJfDoyKtT1Ws5JCoSdS2y
구글, “의료진 간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기준”,
https://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cad=rja&uact=8&ved=2ahUKEwi_96m--erzAhU8yYsBHQpUDKYQFnoECC8QAQ&url=http%3A%2F%2Fwww.kosqua.net%2Fupload%2Fext%2Flibrary2%2F*************0.7510.0.0.pdf&usg=AOvVaw3ThWKoW6Un617R9IS0MNrR
광주일보, “신규간호사 교육”,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446006
네이버 블로그, “의료진 간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기준”,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yms12731&logNo=221081902174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의료진간 SBAR 활동”,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NSD&MENU_ID=002013
서울아산병원, “병원소개”, http://www.amc.seoul.kr/asan/hospitalinfo/review/subMain.do
서울아산병원, ”환자권리장전“, http://www.amc.seoul.kr/asan/footer/patientRight.do
서울아산병원간호부, ”간호부소개,“ http://nsg.amc.seoul.kr/asan/depts/nsg/K/content.do?menuId=3137
서울아산병원간호부, ”교육“, http://nsg.amc.seoul.kr/asan/depts/nsg/K/content.do?menuId=1240
대한병원협회, “감염관리 교육”, https://www.kha.or.kr/search/view
진주 예손병원, “의약품 관리”, https://yesonhospital.net/edu6/2898
참행복한요양원, “낙상예방”, http://www.happyseoro.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265
참행복한요양원, “욕창예방”, http://www.happyseoro.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266
참행복한요양원, “성폭력 예방”, http://www.happyseoro.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