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1.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배경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배경은 다음과 같다.
가드너는 1965년 하버드 대학에서 심리학을 공부하면서 정서, 인성, 정신병리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대학원 과정 중 그는 인간 발달과 인지 발달 연구로 유명한 스승 제롬 브루너을 만나 그의 지도 아래 피아제의 저서를 탐독하며 인지 발달에 대한 관심을 더욱 깊이 있게 발전시켰다. 가드너는 인지 발달의 최종 단계가 학문 중심의 과학적 사고라는 전통적인 가정에 의문을 품었고, 예술가들의 능력과 기술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가드너가 다중지능이론을 제시하기 전 최초의 지능검사는 1905년 프랑스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에 의해 개발된 테스트로 이는 정신지체아를 구별하고, 아동들의 학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검사였다. 이후 독일의 심리학자 윌리엄 슈테른이 일반 성인의 지능도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를 개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루이스 터먼 교수가 '스탠퍼드-비네' 지능검사를 발전시켰다. 이는 지능지수(IQ)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검사 결과를 도출하는데, 여기에서 IQ는 일반적으로 100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130 이상을 우수, 70 이하는 정신 지체로 평가하게 된다. 가드너는 이러한 비네의 지능검사가 인간의 지적 능력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고 비판하며, 인간의 지적 능력을 8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는 인간의 지적 능력은 매우 다양하며, 획일적인 테스트로는 이를 제대로 평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각 개인이 두각을 나타내는 지적 능력 분야를 발견하고 이를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1.2. 다중지능이론의 개념
다중지능이론의 개념은 전통적인 지능검사가 주로 언어적 능력과 논리적 능력을 중시하는 것과 달리, 다양한 지능의 개념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가드너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지능은 매우 다양하며, 단일한 능력으로 정의될 수 없다. 대신 그는 음악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공간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개인 내 지능, 자연주의적 지능 등 8가지 지능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세 가지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첫째, 지능은 단일한 능력이 아닌 서로 별개로 구분되는 다수의 지능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둘째, 이 8가지 지능이 각각 독립된 체제로 기능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 분야에서 뛰어난 지적 능력을 보이더라도 다른 분야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셋째, 이 지능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실제 활동에서는 여러 지능이 함께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다중지능이론은 인간의 지적 능력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며, 각 개인의 독특한 지적 능력을 발견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1.3. 다중지능이론의 내용
1.3.1. 언어적 지능
언어적 지능은 말과 글을 사용하여 생각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음운, 어문, 의미 등의 복합적인 요소와 관련된 능력을 포함한다. 이 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언어의 상징체계를 빠르게 배우고 이를 창조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그들은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탁월한 능력을 보이며, 복잡한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효과적으로 설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