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뮤직 퍼블리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뮤직 퍼블리싱 산업 개요
2.1. 뮤직 퍼블리싱 산업의 변화
2.2. 작곡가와 퍼블리싱 회사의 관계
3. 국내 뮤직 퍼블리싱 회사
3.1. JYP 퍼블리싱
3.2. 뮤직큐브
4. K-Pop과 한국의 대중음악 산업
4.1. K-pop의 발전 배경
4.2. 한국 음악계의 상황
4.3. K-pop의 미래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보통 음악 작곡에 대해 생각하면 많은 이들이 개인 작곡가가 자신의 작업실에서 작곡을 하는 것을 떠올리곤 한다. 과거 우리나라의 음악은 대부분 개인 작곡가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단독 음악 제작은 독특하고 창의적인 음악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개인 능력의 한계로 인한 제작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공동 음악 제작방식이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는 퍼블리싱 회사의 등장으로 인해 생겨난 변화라 할 수 있다. 작곡가들이 다른 작곡가와 협력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나면서 공동작업이 많아졌고, 이를 통해 다양한 음악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처럼 음악 제작 방식의 변화와 함께 작곡가들은 저작권 관리, 프로모션 등 다양한 역할을 퍼블리싱 회사에 의존하게 되었다. []
2. 뮤직 퍼블리싱 산업 개요
2.1. 뮤직 퍼블리싱 산업의 변화
과거 우리나라의 음악은 대부분 개인 작곡가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하지만 단독 음악 제작은 독특하고 창의적인 음악을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개인 능력의 한계로 인한 제작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을 여러 명이 같이 하는 공동 음악 제작방식이 선호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트렌드는 퍼블리싱 회사의 등장으로 인해 생긴 변화로, 작곡가들이 다른 작곡가와 함께 협력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나면서 공동작업이 많아지게 되었다. 이전과 달리 작곡가들이 소속되어 있는 회사가 만들어졌고, 이 회사를 통해 작곡가가 작곡을 한 뒤 가수들이 소속되어 있는 기획사로 넘기는 방식이 등장했다. 과거에도 일부 작곡가들이 기획사에 소속되어 작곡을 했지만, 이 경우에는 작곡가가 소속된 가수들에게만 곡을 줘야 했었다. 하지만 퍼블리싱 회사는 작곡만 해서 다른 기획사로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작곡가가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퍼블리싱 회사에는 여러 작곡가가 소속되어 있기 때문에 공동 음악 제작방식으로 제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곡이 만들어지고 있다. 작곡가들은 자신의 곡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한데, 음악 저작권을 등록하고 자신의 음악이 도용되지 않았는지 따로 관리해야 한다. 개인이 이를 모두 감당하기는 어려워짐에 따라 작곡가들은 퍼블리싱 회사에 이러한 역할을 맡기고 있다.
이처럼 음악 산업의 발전과 함께 퍼블리싱 회사가 등장하면서 작곡 방식과 작곡가의 역할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퍼블리싱 회사를 통해 작곡가들은 공동작업의 기회를 얻고 저작권 관리 등 업무 영역이 보다 확장되었다. 이는 개인 작곡가 체제에서 발생하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해주었다.
2.2. 작곡가와 퍼블리싱 회사의 관계
작곡가들은 이전에는 개별적으로 작곡을 하였지만, 최근 들어 퍼블리싱 회사가 등장하면서 음악 제작 방식에 변화가 생겨났다. 작곡가들은 퍼블리싱 회사를 통해 다양한 음악을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받게 되었다. 퍼블리싱 회사는 'Lead'를 통해 기획사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음악에 대한 정보를 소속 작곡가들에게 전달하고, 작곡가들은 이를 바탕으로 음악을 제작하여 기획사에 전달한다. 이처럼 퍼블리싱 회사는 작곡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계약, 지분 관리 등 저작물 관리까지 담당하고 있어 작곡가 입장에서는 퍼블리싱 회사에 소속되어 작곡하는 것이 선호된다. 과거에는 한 기획사 내에 소속 작곡가들이 해당 기획사의 가수들을 위한 곡을 작곡하였지만, 퍼블리싱 회사를 통하면 다양한 기획사의 가수들과 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퍼블리싱 회사에는 여러 작곡가가 소속되어 있어 공동 제작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곡이 만...
참고 자료
김도현, K-Pop 음악 제작 협업에 관한 질적 연구, 상명대학교, 2021
JYP 퍼블리싱
https://www.jyppub.com/M/ko/About
뮤직큐브
http://www.musiccube.co.kr/bbs/content.php?co_id=sub01_02
'작곡 중개시스템' 정착된다, 부산일보, 2009.01.11.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080221000970
백융희, [공식] JYP엔터테인먼트, 'JYP 퍼블리싱 송라이터 오디션' 개최, 마켓뉴스, 2020.04.28.
https://www.mark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285
장윤정 (2017.04) 스토리텔링과 힙합 틈새시장 개척. 방탄소년단 ‘빈틈없는’전략 통했다.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3/article_no/8080/ac/search
박영은 (2020.07) 전성기 성공 방정식은 ‘능숙함의 덫’ 스타 리더십 키우고 초심으로 돌아가야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3/article_no/9672/ac/search
박영은 (2020.09)아이돌-기획사-팬의 탄탄한 3자 구도,소통-공감하는 ‘감성지능’ 파워가 바탕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2/article_no/9749/ac/search
박수호, 박지영(2020.09.18.) BTS로 세계정복…상장 초읽기 빅히트엔터 대해부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09/964755/
류재용(2020.03.24.) 빅히트 크로니클 (2) ‘방탄소년탄’으로 표면화된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비전
https://mkr.acrofan.com/article_sub3.php?number=188011
주재우 (2013.05) 싸이?빅뱅 같은 스타가 이미지 좌우? ‘YG다움’은 뭘까, 고민을 디자인하다 https://dbr.donga.com/article/view/1901/article_no/5710/ac/search
지인해 (2020.09.23.) 엔터레저 coming up next!
http://consensus.hankyung.com/apps.analysis/analysis.downpdf?report_idx=571587
한국경제 (2020.09.26.) 승리·양현석 리스크 끝났나…YG엔터 '승승장구'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009251839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