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H 간호진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s-ICH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상자 사정
2.1. 일반적 정보
2.2. 병력
2.3. 신체검진
2.3.1. 호흡, 순환
2.3.2. HEENT
2.3.3. 의식 및 인지기능
2.3.4. 영양, 대사
2.3.5. 배설
2.3.6. 피부
2.3.7. 의사소통
2.3.8. 감각기능
2.3.9. 반사기능
2.3.10. 기동영역
2.3.11. 수면
2.3.12. 통증, 정서상태
2.3.13. 인지/지각
2.3.14. 관계/지지체계

3. 대상자 문제 분석
3.1.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3.2. 뇌손상으로 인한 IICP와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관류
3.3. 국적과 관련된 의사소통 장애
3.4.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3.5. 부동과 관련된 욕창 위험성
3.6. 정신상태저하와 관련된 낙성위험성
3.7.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4. 간호계획

5. 간호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s-ICH 간호진단은 대상자의 중요한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현병력, 과거력, 신체검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주요 간호진단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간호계획과 평가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 향상과 안녕 도모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s-ICH 간호진단 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대상자 사정
2.1. 일반적 정보

이 대상자는 78세 여성 환자로, 고혈압과 당뇨가 있다. 입원 경로는 응급실이며, 입원 방법은 들것(stretcher cart)을 사용하였다. 입원 시 활력징후는 체온 36.8°C, 맥박 70회/분, 호흡 16회/분, 혈압 130/70mmHg이다. 과거력에서 20년 전 자궁 적출술을 받은 것 외에는 특이사항이 없다. 현재 혈압약과 당뇨약을 복용하고 있다. 보조기구로는 안경과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다. 78세 여성 환자로 고혈압과 당뇨가 있으며 20년 전 자궁 적출술을 받은 적이 있다. 현재 혈압약과 당뇨약을 복용 중이며 안경과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다.


2.2. 병력

이 대상자는 36년 전 Lt. side brain tumor로 수술을 받은 이력이 있으며, 20대에 Cbr.infarct으로 Rt. side weakness가 있었다. 10년 전에 한 번 더 쓰러져 Rt. side weakness aggravation되고 혼자 거동이 힘들었으며 dysarthria가 발병했다. 9년 전부터 Rt. ankle fx, Rt. toe fx 이후 wheelchair ambu가 가능했으며, 2015년 cerebral aneurysm clipping(simple) 시술을 받았다. 현재 HTN, 행동장애, CVA, 시각장애(+), 3년 전 양쪽 눈 실명했다. 3일 전부터 기침, 콧물이 있어 약을 복용하고 호전되었다가 19년 10월 4일 당일 저녁 7:30 ER을 통해 내원했다. 주증상은 seizure, mental change이며, 당시 V/S 180/100-66-20-36.5-97%였으며 피부 약간 창백하며 수면 상태는 정상이나 지남력 no intect, GCS E(2),M(3),V(1), 의식수준 stuporous mental, pupil size 4-/4-, eyeball deviation 양상을 보였다. 당일 Brain CT상 Rt. temporal lobe에 acute ICH, Rt. frontal temporal lobe에 rupture로 인한 SDH가 관찰되어 deep ICH 진단받아 craniectomy&craniotomy 성공적 op 후 SICU에 입원했다.


2.3. 신체검진
2.3.1. 호흡, 순환

호흡 양상은 정상이다. 호흡음도 정상이며 흉부 물리요법이나 흡인이 필요하지 않다. 산소 공급은 필요하지 않은 상태이다. 기침을 하지 않으며 배출되는 객담도 없다.

심음은 정상이며 심전도 모니터링 결과에서도 동성 리듬이 유지되고 있다. 심계항진이나 부정맥은 관찰되지 않는다. 흉통도 없다. 청색증도 나타나지 않는다. 부종은 없는 상태이다.

활력징후를 보면 혈압은 수술 직후 약간 높은 편이었으나 이후 정상 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맥박과 호흡수도 정상 범위 내에 있다. 체온도 정상이다.

전반적으로 호흡과 순환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3.2. HEENT

Head(머리)는 전체적으로 정상이며, 외상으로 인한 두통이 있었다. 눈(Eye)의 경우 시력 및 통증은 없으며, 동공의 크기와 반사 상태가 정상이다. 귀(Ear)에서는 보청기 착용이 없고 이통, 이명, 현훈 등의 증상이 없다. 코(Nose)에서는 후각 이상이나 비출혈, 분비물 등의 증상이 없다. 목(Throat)에서는 임파선이나 갑상선 비대 소견이 관찰되지 않는다. 종합적으로 HEENT 부위에서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으며, 입원 당시 그리고 현재까지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3.3. 의식 및 인지기능

대상자는 응급실 내원 시 의식수준이 drowsy하였으나, 현재에도 의식수준이 drowsy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지남력 사정 시 본인의 이름과 나이는 말할 수 있지만 장소와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없는 상태이다. 대상자에게 delirium이나 hallucination과 같은 지각 이상은 나타나지 않으며, 장기 기억력이나 최근 기억력 장애도 관찰되지 않는다. 판단력 장애 또한 관찰되지 않는다. 대상자는 깨우면 묻는 말에 대답할 수는 있지만,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어 간단한 단어 사용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이는 대상자의 국적이 중국인인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간호사는 대상자의 의식 수준 및 인지 기능 저하를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의사소통 장...


참고 자료

수문사, 김명희 외 2015 성인간호학
수문사, 강현숙외 2014 근거기반 기본간호
드럭인포
황옥남외 (2019) 성인간호학 –하권 제7판 현문사, p399
황옥남외 (2019) 성인간호학 –하권 제7판 현문사, p432-449
이은희외 (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부록
https://blog.naver.com/mybear1111/221795105686 -사진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673&cid=51007&categoryId=51007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 (약물 출처)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517 -질환 참고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양선희 외(2018), 기본간호학, 현문사
약학정보원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강남세브란스병원
김태곤·정상섭·허 륭·최중언. (2008). Traumatic Brain Injury. Department of Neurosurgery, J Neurocrit Care. ;1 Suppl 1:S56-S62. ISSN 2005-0348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