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교육 현장에서의 모의 수업
대학생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 투입되기 전에 모의 수업을 통해 교수-학습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의 수업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교사가 되기 위한 예비과정에서 진행되는 모의 수업은 학습자에 대한 이해, 효과적인 교수 전략 수립, 다양한 평가 방법 고려 등 교육 전반에 걸친 실제적인 준비가 될 수 있다. 또한 모의 수업을 통해 경험해 본 시행착오와 피드백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수업 실행력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모의 수업 지도안 수립은 예비교사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모의 수업 지도안 작성은 교육 현장에 투입되기 전 예비교사의 전문성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교수-학습 활동의 계획과 실행에 앞서 모의 수업의 대상이 되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학습자의 국적, 연령, 성별, 수준, 흥미도, 학습 스타일 등의 정보를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또한 학습 목표의 설정 시 구체성과 명확성을 확보해야 한다.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학습자의 실제적인 언어 사용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성취 기준을 명시하고 수업 활동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세부적인 학습 목표를 수립해야 한다. 수업 대상과 학습 목표를 명확히 설정함으로써 교수-학습 활동의 방향성을 확고히 할 수 있다.
모의 수업 대상은 중급 수준의 외국인 학습자 5명으로 구성된다. 학습자 개인의 배경을 살펴보면, 완완씨는 중국 여성으로 25세, 소극적이고 말수가 적으며 한국 음식을 좋아한다. 코미나씨는 일본 여성으로 27세, 성격이 활발하고 항상 적극적이며 한국 영화를 좋아한다. 꾸헝씨는 싱가포르 여성으로 21세, 한국 드라마를 좋아한다. 제임스씨는 미국 남성으로 30세, 기혼이며 K-pop을 좋아한다. 링링씨는 러시아 남성으로 29세, 대학생이며 한국어학과 대학원에 진학할 예정이다. 이처럼 다양한 국적, 연령, 성별, 성격, 관심사를 가진 학습자들로 수업 대상이 구성되어 있다.
이번 모의 수업에서는 교재(세종한국어 3B)에 제시된 문법 '-으)ㄴ 다음에'의 사용법을 다룰 것이다. 학습자들은 이 문형을 활용하여 어떤 일이나 과정이 끝난 후를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들은 '-으)ㄴ 다음에'의 의미와 형태상의 특징을 이해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이 문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입 단계에서는 일상대화와 함께 오늘 학습할 내용을 자연스럽게 노출시키며,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를 유도한다. 제시 단계에서는 PPT와 문형 카드를 활용하여 '-으)ㄴ 다음에'의 의미와 형태, 사용 규칙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연습 단계에서는 다양한 문장 완성하기, 짝 활동 등을 통해 학습자들이 직접 문형을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활용 단계에서는 일상생활 관련 상황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이 '-으)ㄴ 다음에'를 활용하여 문장을 만들어 보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 내용을 정리하고 과제를 제시하는 마무리 단계로 구성된다.
이번 모의 수업에서는 주 교재인 세종한국어 3B, PPT 자료, 문형 카드, 연습지, 판서 등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한다. PPT를 통해 '-으)ㄴ 다음에'의 개념, 형태, 용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문형 카드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직접 문형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교실 내 물건을 활용하여 실제 상황에 맞는 문장을 만들어보는 활동을 진행한다. 다양한 시청각 자료와 실물 자료의 활용은 학습자의 이해도와 흥미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1.2. 모의 수업 지도안의 중요성
모의 수업 지도안은 실제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중요한 사전 준비 단계이다. 수업 대상 및 학습자의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학습 목표와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며, 효과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계획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의 수업 지도안을 통해 수업에서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