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학 세계대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임상심리학 세계대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임상심리학의 정의와 역할
1.2. 임상심리학의 역사적 발전

2. 임상심리학의 발달에 미친 주요 요인
2.1. 제 1차 세계대전의 기여
2.2. 제 2차 세계대전의 기여
2.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의 기여

3. 임상심리학의 주요 분야
3.1. 정신분석 접근
3.2. 행동주의 접근
3.3. 인지행동치료 접근
3.4. 실존주의/내담자 중심 접근

4. 임상심리학자의 입장
4.1. 과학적 입장
4.2. 인본주의적 입장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임상심리학의 정의와 역할

임상심리학은 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평가하고 치료하는 학문이다. 인간의 지적, 정서적,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측면을 더 잘 이해하고 예측하며,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심리학의 원리를 이용한다. 임상심리학은 인간의 심리적 장애의 분석, 치료 및 예방과 개인의 적응 및 효능감 증진에 기여한다.

임상심리학자는 사람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와 정신병리를 분류, 분석, 평가하고 치료하는 전문가이다. 그들은 심리적 외상, 정서적 장애, 행동 문제 등을 다루며,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개인의 상태를 고려하고 잠재력을 발달시키는 것을 지원한다. 임상심리학자는 사람들의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한다.

임상심리학은 미국에서 1896년부터 발전해왔고, 한국에서는 1964년 공식적인 시작점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쟁 이후 귀환 군인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대두되면서 임상심리학이 급속히 성장했으며, 이를 통해 평가와 치료 기법이 발전하게 되었다. 현재 임상심리학은 과학적 연구와 실무를 균형있게 수행하는 전문 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1.2. 임상심리학의 역사적 발전

임상심리학은 미국 역사의 흐름과 유사하게 발전해왔다. 임상심리학의 본격적인 개발과 연구가 미국의 역사적 사건을 계기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이자 임상심리학 발전의 큰 계기가 된 사건은 제1차 세계대전이다.

1917년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면서, 유럽전선으로 나갈 최적의 군인을 선발하기 위해 미국 심리학회(APA) 회장 로버트 여키스가 심리검사 위원회를 조직했다. 이에 따라 우드워스가 개발한 인성검사와 군대알파 검사가 활용되어 군인들의 지능, 정서적 기능을 평가하고 현장 수행 능력을 측정했다. 또한 비언어적 검사인 베타 군인 검사도 실시되었다. 이러한 심리 검사의 성공적 적용으로 인해 임상심리학의 영향력이 커졌고, 다양한 심리검사들이 개발되었다. 이 시기까지 임상심리학자는 주로 검사자의 역할을 수행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임상심리학자의 치료적 역할이 부각되었다. 전쟁에서 살아 돌아온 많은 사람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었기 때문이다. 재향군인회는 이들에 대한 심리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이에 따라 임상심리학 학위가 성립되고 전문가 양성 체계가 정립되었다. 이로써 임상심리학자는 독립적인 전문가로 인정받게 되었으며, 그 수도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한편 임상심리학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한 인물로 프로이트를 들 수 있다. 1909년 프로이트가 미국에서 정신분석 이론에 관한 강연을 하면서 이 이론이 미국 전역에 퍼지게 되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은 '무의식'의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의 성격구조와 정신질환의 원인을 새롭게 이해하는 틀을 제공했다. 또한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치료 과정을 통해 심리치료의 대중성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처럼 임상심리학의 역사는 제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검사자에서 진단가, 치료자로 그 역할이 점차 확대되어 왔다. 또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은 현대 임상심리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임상심리학의 발달에 미친 주요 요인
2.1. 제 1차 세계대전의 기여

1차 세계대전의 기여

제1차 세계대전은 임상심리학이 발달하는 데 중대한 기여를 했다. 전쟁 중 수많은 군인들이 참혹한 전투 경험으로 인해 심리적 문제를 겪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전쟁 신경증'(War Neurosis) 또는 '셸 쇼크'(Shell Shock)로 불리는 증상이 널리 알려졌다. 전쟁 신경증은 참전 군인들이 극도의 공포와 긴장, 충격을 경험한 결과로 나타난 신체적 이상 반응과 불안, 우울, 무감각, 공포 등의 정서적 증상을 동반한 상태였다.

이러한 전쟁 신경증은 이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관한 초기 연구의 토대가 되었다. 비록 PTSD라는 개념이 아직 명확히 확립되지 않았지만, 전쟁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외상과 그 결과에 대한 초기 관찰들이 이루어졌다. 특히 셸 쇼크를 치료하고 이해하려는 시도가 증가하면서 심리적 외상이 개인의 정신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게 되었으며, 이는 임상심리학의 중요한 연구 주제로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제1차 세계대전 참전 군인들의 심리적 문제를 진단·평가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심리 평가 도구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고 적용되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군인들의 인지적·정서적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기 위한 도구들이 연구됐고, 특히 미국 군대에서는 스탠포드-비네 검사(Stanford-Bi...


참고 자료

임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안창일 등저, p21-44)
여기스터디 임상심리학 교안 (p6~7)
코로나19로 치솟는 정신질환…바로 알아야 할 8가지(코메디닷컴, 권순일 기자, 2021-8-13)
한국, OECD 국가 중 우울증 발생률 1위 (하이닥, 성진규 기자, 2021-6-15)
위키백과- 알파지능검사
임상심리학의 회고와 21세기 전망 (한국심리학회 춘계 심포지움, 성신여대 심리학과 김정규, 2006)
네이버 지식백과 - 임상심리학 - 2) 주요연구영역 - 정신분석 연구
조옥귀, 문지혜 저, 임상심리학, 창지사, 2024
박상규 저, 임상심리학, 학지사, 2022
신민섭, 권석만 외 3명 저, 임상심리학,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이종건, 임상심리학, 학문명 백과 : 사회과학,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3319&cid=44412&categoryId=44412
데이비드 G. 마이어스, 마이어스의 심리학 개론 (2016)
한국임상심리학회. http://www.kcp.or.kr/user/sub01_1_2.asp
미국심리학회. https://www.apa.org/
Rodnick, E. H. (1985). Clinical psychology. In H. I. Kaplan & B. J. Sadock.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4th ed. (pp. 1929-1935). Baltimore, MD: Williams & Wikins
Kendall, P. C. & Norton-Ford, J. D.(1982), Clinical psychology, Jone Wiley & Sons.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