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 디자인씽킹"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관리 디자인씽킹의 필요성
1.2. 디자인씽킹의 기본 개념과 활용
1.3. 실습 간호관리과정의 현황 파악
2. 간호관리 문제 발견
2.1. 실습 간호관리 과정에서의 문제점
2.2. 문제 인식을 위한 질문트리 작성
2.3. 문제 분석을 위한 관찰 및 인터뷰
3. 디자인씽킹을 통한 아이디어 개발
3.1. 근본원인 파악과 문제 정의
3.2. 아이디어 발산 및 프로토타입 제작
3.3. 아이디어의 실행 가능성 검토
4. 디자인씽킹 기법의 실행 및 평가
4.1. 프로토타입 적용과 피드백 수렴
4.2. 아이디어 개선 및 보완
4.3. 지속적 적용을 위한 이해관계자 연계
5. 결론
5.1. 간호관리 개선을 위한 디자인씽킹의 활용
5.2. 실습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 및 한계점
5.3. 향후 발전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관리 디자인씽킹의 필요성
간호관리 디자인씽킹의 필요성이다. 디자인씽킹은 사용자 중심 혁신방법론으로, 간호관리 현장의 문제를 발견하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다. 간호관리 현장의 문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므로 디자인씽킹의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 창출 등의 단계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간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간호관리 프로세스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으로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간호관리 혁신을 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관리 디자인씽킹은 사용자 중심의 간호서비스 제공과 간호관리 혁신을 위해 필요하다.
1.2. 디자인씽킹의 기본 개념과 활용
디자인씽킹은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방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고체계이다. 이는 사용자 중심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도출하며, 실행 가능성을 검토하여 최종 솔루션을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디자인씽킹에서는 문제 정의, 데이터 수집, 아이디어 발산, 프로토타입 제작, 피드백 수집과 개선의 반복적인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디자인씽킹의 핵심 원리는 공감, 문제정의, 아이디어 발상, 실험, 학습이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할 수 있다. 디자인씽킹을 활용하면 사용자의 잠재된 요구를 파악하고, 창의적인 대안을 도출하며, 실제 운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실용적인 솔루션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는 단순히 기존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고 가치를 창출하는 데 효과적이다.
병원 현장에서도 디자인씽킹은 간호관리 과정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실습 간호관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정의하고, 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를 심도 있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산하고, 시제품을 제작하여 실행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을 수집하고 개선 작업을 거치면서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할 수 있다. 이처럼 디자인씽킹은 간호관리 과정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사용자 중심의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관리 분야에서 디자인씽킹을 적극 활용하면, 사용자의 요구를 깊이 있게 반영한 문제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고,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호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간호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1.3. 실습 간호관리과정의 현황 파악
실습 간호관리과정의 현황 파악이다. 병원에서 많이 일어나는 사고로는 낙상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병원에서 모든 입원 환자들에게 일률적이고 형식적인 낙상예방교육을 단 1회를 실시하는 것이 종종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육되지 않았고 그 외에 낙상고위험군에게 따로 낙상예방 교육을 실시하는 모습 또한 관찰되지 않았다. 낙상사고 중에서 절반이상이 환자를 침대에서 휠체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보호자 및 환자에게 휠체어 사용에 대한 낙상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였다고 파악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우연히 혹은 의도하지 않은 손상성 사망 2위를 차지하는 것이 낙상이다. 국내에서도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4.6명으로 질병 외인 원인 3위를 차지하였다. 국내 종합병원의 낙상 발생률은 입원환자 1000명당 3.56건이었고, 외국의 경우에도 의료기에서 발생하는 위해사건의 38%가 낙상으로 나타나 의료기에서의 낙상사고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정형외과 환자에서 균형감 상실과 보행 장애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특히 보조기를 사용한 환자의 낙상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 환자 40.8%는 휠체어, 워커, 지팡이 등의 보조기를 사용하는 환자이며 보행 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환자가 독립인 보행이 가능한 환자보다 낙상할 확률이 3.3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낙상 발생의 원인으로는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하거나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 중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환자를 옮기는 경우, 최소 3명의 사람이 필요하기 때문에 간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할 경우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과 업무 만족도가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최소의 인력이 투입되고 최대의 효과를 내며 안정성이 보장된 장비가 필요하다. 병원의 각 병동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은 한정되어있다. 그리하여 환자를 이송하는 침대나 휠체어 등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송해야하는 경우에 다른 병동에서 물품을 빌리는 경우가 다수로 관찰되었다. 또한 공동의 물품이기에 보관도 병동 내에 해야 하기에 벽에 세우거나 구석진 창고에 보관하는 경우도 관찰되어 보관할 공간도 부족하며, 환자 및 간호사, 방문객들의 이동이 불편한 점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휠체어의 보관과 사용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물품이 필요하다.
2. 간호관리 문제 발견
2.1. 실습 간호관리 과정에서의 문제점
실습 간호관리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병원에서 많이 일어...
참고 자료
이영선. (2016). 일반병동과 특수병동 간호사간의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 비교연구.
박소정, 강지연, & 이영옥. (2012).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중환자간호학회지, 5(1), 44-55.
염호기. (2015). 환자안전을 위한 환자확인의 개념과 중요성.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8(2), 93-99.
김유정, 『입원 환자의 낙상사고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 기본간호학회지, 2017.
고현준 외 5명, 『침대 이송 기능을 갖춘 수동식 휠체어 설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제 22권제3호, 2017.
장인실 외 1명, 『일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진료과별 낙상특성 및 위험요인』. 기본간호학회지 (대한기본간호학회) 21권 3호, 2014.
김윤숙 외 1명,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위험 요인 및 낙상 위험도 평가』.한국성인 간호학회, 2013.
차경숙 외 2명, 『 하지보조기 사용 골절환자를 위한 낙상예방교육이 보조기 사용관련 변수 및 낙상공포감에 미치는 효과』.근관절건강학회지, 2012.
성일순, 『낙상 peer review group 운영을 통한 낙상발생률 감소』.한국 의료질 향상 학회지, 2008.
이병숙 외.『간호관리학 4판』. 학지사메디컬, 2019.
LOHAS 침대 - 얀코 디자인
https://www.yankodesign.com/2017/01/23/a-little-sunshine-goes-a-long-way/
보건복지부 유형별 병원내 환자안전사고 비율, 통계청, 2018
양선희 외. (2017) 기본간호학2: 현문사. 364-369
최혜숙 외 공역. (2011) 작업치료학: 현문사. 291-298
병동심화교육 자료: 욕창예방과 관리.
「간호사가 알려주는 홈케어」. http://khna.or.kr/homecare_new/04_nerve/chronic01_02.php
Yale Patt, Sanjay Patel 저. (2003) Introduction to Computing Systems (2nd Edition/ Paperback): KMCGRAW-HILL. 200-239
정광태, 강병기, 전경진, 원병희, 홍재수 (2009). 욕창방지 매트리스와 제어기의 인간공학적 평가 및 디자인.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2(3), 6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