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학개론 현문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학개론
1.1. 조선시대 간호
1.2. 개항기 간호(1876~1910)
1.3. 일제강점기 간호(1910~1944)
1.4. 대한민국 정부수립기 간호(1948~1950)
1.5. 한국 전쟁기 간호(1950.6.25.~1953)
1.6. 전쟁 후 복구기 간호(1954~1960)
1.7. 간호 성장기(1960~1980)
1.8. 간호 발전기(1980~)
2. 간호 전문직 표준에 대한 이해
2.1. 간호의 개념
2.2. 전문직의 개념
2.3. 간호를 전문직으로 생각하는 이유
2.4. 질 높은 간호제공을 위해 해야 할 일
2.5. 전문직 수행 표준
3. 나이팅게일의 전문성
3.1. 나이팅게일의 업적
3.2. 나이팅게일의 리더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학개론
1.1. 조선시대 간호
조선 말기까지 여성의 사회활동이 제한되어 있어 간호는 가정 내, 이웃 간에 이루어졌다. 가족구성원의 건강관리, 병자 돌봄, 간호와 물리치료, 응급치료 등을 일상생활 속에서 수행하였다. 간호의 대상은 자신의 가족 중에서도 주로 웃어른과 자녀였다.
태종 6년(1406년)에 제생원에 의녀제도가 최초로 설치되었다. 의녀는 천민 출신의 여성으로 12세 이상 30세 이하의 건강한 동녀를 선발하여 교육하였다. 이는 남녀유별의 사회적 관행에 얽매이지 않고 남성 의원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신분으로 인해 국가가 인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의녀들은 조선 말까지 간호, 조산, 진찰, 침구, 투약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의녀제도는 태종, 세종, 성종의 3대를 거치면서 확립되었고, 체계적인 교육과 질 관리를 통해 의료사각지대에 있던 여성들의 치료에 기여하였다. 연산군 때 감찰업무, 술 시중 등의 비본래적 업무가 추가되면서 의녀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졌다. 이는 간호사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남기게 되었다.
1.2. 개항기 간호(1876~1910)
개항기는 조선이 주변국과의 통교를 시작한 시기이다. 1876년 조선 정부가 일본과 병자수호조약을 체결한 이후 각국의 외국과 교류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 조선에 서양식 병원이 처음 등장하게 되었고, 선교사들에 의해 간호활동이 시작되었다.
1878년 부산에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제생병원이 설립되었다. 이후 1881년 원산에 생성의원, 1884년 인천에 영사관부속의원이 설립되었다. 1885년에는 제동에 광혜원이 개원되었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근대적 서양식 병원 및 의학교육 시설이었다. 광혜원은 2주 후에 제중원으로 개칭되었다.
선교사들의 의료활동도 이 시기에 시작되었다. 1884년 9월 장로교회 선교사 의사 알렌부부가 조선에 왔고, 12월 갑신정변 때 수구파 민영익의 부상을 치료한 것을 계기로 조선 정부에 병원 설립을 제의하여 받아들여졌다. 1885년 4월 광혜원이 개원하였고, 헤론이 부임하여 알렌과 함께 근무하였다.
1887년 감리교 선교의사 스크랜튼이 제중원에 1개월 근무한 후 정동에 선교의료원인 제일병원을 개원하였다. 이는 한국 최초의 선교의료 사업이었다. 이외에도 많은 의료선교사들이 파송되어 의료사업을 펼쳤다.
1891년 영국인 히드코트가 최초의 서양 선교간호사로 파송되었고, 1892년 그녀와 여의사 쿠크가 함께 정동에 부녀자와 어린이를 위한 성베드로병원을 개원하였다. 1892년에는 영국인 웹스터가 또 다른 선교간호사로 파송되었다.
간호교육도 이 시기에 시작되었다. 1885년 조선 정부가 '여자의학생'이라는 이름으로 천민 출신 여성 5명을 선발하여 의학교육을 하려 했으나 4개월도 채우지 못하고 끝났다. 1903년에는 캐나다 선교사 에드먼드와 여의사 커틀러에 의해 보구녀관이 설립되었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근대적 간호교육기관이었다. 에드먼드는 '간호원'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이처럼 개항기에 서양식 병원과 의료선교 활동이 시작되었고, 선교간호사들에 의해 근대적 간호교육이 마련되었다. 이는 한국 간호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1.3. 일제강점기 간호(1910~1944)
일본은 병자수호조약 체결 이후 1876년부터 조선에 침투하기 시작했고, 1894년 갑오개혁을 거쳐 1895년 을미개혁과 청일전쟁 승리로 국권을 상실한 조선에 대한 식민지 지배를 본격화했다. 이에 따라 일본은 조선에 병원을 설립하고 간호인력을 보내 식민통치에 활용했다.
1910년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점하면서 조선총독부가 설치되었고, 이는 곧바로 의료행정에 대한 개편으로 이어졌다. 조선총독부 의원이 가장 중요한 의료기관이 되었고, 전국 13개 도청소재지에 자혜의원이 설치되었다. 이 자혜의원들을 중심으로 간호부와 산파 교육이 이루어졌다. 1911년 조선총독부는 제1차 조선교육령을 공포하여 간호부과와 산파과의 입학자격과 교육기간을 제한했는데, 보통학교 졸업자 중에서 중등교육 2년 이상 이수자만 입학이 가능했으며 교육기간도 종전보다 늘렸다. 이는 일본의 교육제도를 모방한 것으로, 일본과 동일한 수준의 간호교육을 실시하고자 한 것이다.
1917년에는 '일본 적십자사 조선본부 간호부 양성규정'을 반포하여 적십자간호부 양성소를 개설했다. 이 규정에 따르면 입학자격이 고등소학교 졸업 수준으로 더욱 높아졌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간호교육은 철저히 일본의 통제하에 이루어졌으며, 간호부와 산파에 대한 자격기준과 규제도 점점 강화되어 갔다.
한편 1910년대부터 일본은 조선에 대한 식민통치를 공고히 하기 위해 의료정책을 실시했다. 조선총독부 의원과 자혜의원을 통해 의료와 간호 인력을 확보하고 관리했으며, 보건 및 위생행정까지 주도했다. 이는 일본 내지인과 조선인의 의료 접근성 차이를 유발했고, 결과적으로 차별적인 의료제도를 만들어냈다고...
참고 자료
양선희 외 공저,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고명숙 외 공저, 간호학개론, 수문사.
고명숙 외 공역, 개정4판 간호학개론, 수문사(2015),
장금성 외 공역,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http://m.blog.naver.com/idumc/221609780153(2019. 09. 15)
정면숙 외 공역, 간호학개론, 현문사(2017)
공성목 외 공역, 간호관리학, 고문사(2015)
대한간호협회의 간호표준(2003)
간호에 있어서 역할론의 의미’, 오가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77
나이팅게일의 간호론’,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현문사, 1997
간호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간호사의 전문성의 관계’, 임정화, 부산가톨릭대학교, 2013
간호관리학’, 정면숙 외, 현문사, 2016
간호관리학’, 박성외 외, 군자출판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