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헌고찰 환자감염과비판적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단위관리의 정의
1.2. 간호단위관리의 목표
1.3. 간호단위관리의 필요성
2. 본론
2.1. 환자간호 관리
2.2. 간호단위 환경관리
2.3. 간호단위 안전관리
2.4. 물품관리
2.5. 약품관리
2.6. 감염관리
2.7. 기록과 보고
3. 결론
3.1. 문헌고찰을 통한 비판적 사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단위관리의 정의
간호단위관리의 정의는 간호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간호직원의 기술과 노력 그리고 필요한 모든 자원의 활용을 기획, 조직, 인사, 지휘, 통제하는 과정과 기능이다. 간호단위는 최적의 간호수행을 목표로 하는 간호관리의 기본 단위로서 일정 수의 간호대상자와 직원, 시설의 범위이며, 인적 요소, 물리적 요소, 운영적 요소로 구성된다. 간호단위관리는 신속하게 대상자의 건강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간호단위관리를 통해 불필요한 물품, 시간, 에너지 등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예방을 통해 일어나지 않아도 되는 실수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과 효과적인 간호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시설 및 물품을 제공하여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간호단위에 속한 직원들의 신체적, 정신적 안녕을 증진함으로써 전반적인 간호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2. 간호단위관리의 목표
간호단위관리의 목표는 신속하게 대상자의 건강회복을 돕고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며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도모하고 간호단위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개별화된 대상자의 건강요구에 따라 간호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며 대상자의 안위를 위한 물리적 환경조성과 안전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효율적인 물품관리를 통하여 최소의 소비와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대상자와 가족에게 요구되는 건강 상담과 교육을 실시한다. 의사의 진단과 치료활동을 지원하고 돕며 다른 부서 조직구성원과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력관계를 유지한다. 간호실무의 향상을 위해서 계속적인 간호연구를 시행하고 간호단위에 속한 직원의 신체적, 정신적 안녕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들의 교육적 욕구도 충족시킨다.
1.3. 간호단위관리의 필요성
간호단위관리를 수행하면 불필요한 물품, 시간, 에너지 등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예방을 통해 일어나지 않아도 되는 실수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간호의 질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전한 간호를 제공하려는 노력들이 필요하며, 효과적으로 간호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시설 및 물품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적 요소, 물리적 요소, 운영적 요소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간호단위에서 가장 많이 수행되는 간호업무와 업무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각 실의 위치와 설비를 계획하고 필요한 장비와 물품을 적정수량 배치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호단위관리의 목표에서 알 수 있듯이 간호단위관리는 대상자의 안위증진을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단위에 속한 직원들, 특히 병원 내 5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신체적, 정신적 안녕 또한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실무에서 간호단위관리는 꼭 필요하다.
2. 본론
2.1. 환자간호 관리
입원환자의 신속한 건강회복을 위해 체계적인 입원부터 퇴원까지의 과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입원 시 시설 부족으로 인한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그 이유를 설명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관리해야 한다. 또한 대상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치료에 임할 수 있도록 돕고, 신속히 간호정보조사지를 이용하여 간호사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에 기반한 간호문제와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대상자와 가족에게 입원생활 안내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전과 및 전동 시에는 표준화된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여 연속적인 간호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퇴원 시에는 진료의 연속성 유지를 위해 대상자가 의사결정에 참여하도록 하고, 퇴원요약지를 작성하며, 퇴원 교육을 통해 투약, 자가간호, 식이, 추후관리 등에 대한 ...
참고 자료
최하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수행. 2017
이애경, 여지영, 정성원, 변상석.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2013
황현순. 직무스트레스 관리방안. 건국대학교 2016 1학기 강의
안미경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실천행위에 미치는 영향. 2003
이춘종. 국립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 완화요소의 탐색. 2011
이수인.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감정노동 및 자아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대구
이병숙, 상성례, 김현경, 신지원, 안혜경, 이은주 외 공저. 간호관리학 4판. 학지사메디컬. 2019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2.수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원종순,김남초,박수현,송민선 외.현문사.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1b3&CONT_SRC=CMS&CONT_ID=2244&CONT_CLS_CD=001020001007 -삼성서울병원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urololgy/faq/view.asp?con_no=1022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http://www.health.kr/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