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영양 상태는 개인의 건강, 힘, 안위와 질병에 대한 저항과 회복능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하다. 특히 암환자의 경우 질병과 치료 과정에서 다른 질환보다 영양부족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암 치료를 제한하고 합병증을 증가시켜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암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최근 증가하고 있는 대장암 환자들 중 장루를 보유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들에 대한 전문적인 영양 관리와 교육도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암환자의 영양 상태 평가를 위한 관찰 항목과 신체계측법의 절차 및 정상치를 살펴보고, 장루를 보유한 환자와 가족을 위한 퇴원 시 장루 간호 교육 내용과 장루 환자의 심리사회적 문제와 대처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영양 상태 평가
2.1. 암환자의 영양 상태 평가를 위한 관찰 항목
암환자의 영양 상태 평가를 위한 관찰 항목은 다음과 같다.
활동 상태와 보행 능력을 평가하여 암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한다. 활동 상태는 정상 활동, 약간의 증상은 있으나 거의 완전히 거동 가능한 상태, 낮 시간 동안 50% 미만 누워 지내는 상태, 낮 시간 동안 50% 이상 누워 지내는 상태, 완전히 누워 지내는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보행 상태는 이와 유사하게 단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체중과 체질량 지수는 영양 상태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이다. 체중은 연령, 성별, 신장에 따른 이상 체중비로 나타내며, 체질량 지수는 체지방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모든 연령의 비만 판정에 활용된다.
이 밖에도 피하지방 측정, 피부두께 집기법을 통한 피하지방 측정, 상박 둘레와 상박근육 둘레 측정을 통한 근육량 평가 등 다양한 신체계측법을 활용하여 암환자의 영양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2.2. 신체계측법별 절차와 정상치
2.2.1. 전반적인 상태와 보행능력
암환자의 영양 상태를 평가할 때 전반적인 상태를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환자의 활동상태, 보행상태, 자가간호 기능상태를 조사하여 평가할 수 있다. 활동 상태는 활발함, 가벼운 일상 활동, 제한된 자가간호, 자가간호 불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상생활 활동과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흔히 쓰이는 방법이다. 활동상태에 따라 완전한 거동이 가능한 상태(0단계), 약간의 증상이 있지만 거의 완전히 거동 가능한 상태(1단계), 낮시간 동안 50% 미만 누워 지내는 상태(2단계), 낮시간 동안 50% 이상 누워 지내는 상태(3단계), 완전히 누워 지내는 상태(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반적인 환자의 활동상태와 보행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암환자의 영양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2.2.2. 체중, 체질량 지수
체중은 체구성을 알아보는 간단하면서도 영양 상태를 사정하는 가장 중요한 계측 중의 하나이며 열량 소모를 예측하는데도 이용된다. 체중은 나이·성별과 신장에 해당하는 이상 체중비로 나타내는 것으로, 키>160cm일 경우 표준체중은 [키(cm)-100]x0.9이고, 키 150∼160cm일 경우 표준체중은 [키(cm)-100]/2+50이다. 체질량지수는 체지방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모든 연령의 비만 판정지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체질량지수 18.5kg/m2 미만은 저체중, 18.5-22.9kg/m2는 정상, 23-24.9kg/m2는 과체중, 25kg/m2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된다. 체중과 신장을 이용하여 계산한 체질량지수가 18.5kg/m2 미만이면 저체중에 해당되며, 만성 에너지 결핍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체중은 골격, 근육, 피하지방의 양을 반영하며, 영양상태평가 시 가장 중요한 지표로써 활용되므로,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2.2.3. 피하지방 측정
피하지방 측정이다. 피부두겹두께를 측정하여 체지방량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주로 가슴, 삼두근, 견갑골 하부, 옆중심선, 장골 상부, 복부, 허벅지, 장딴지 등 8군데의 피부두겹두께를 측정한다. 측정 시 피부를 부드럽게 집어 올린 후 캘리퍼로 두께를 mm단위까지 측정한다. 한 부위의 피부두겹두께만으로는 체지방량을 정확히 평가하기 어려우므로 보통 여러 부위의 두께를 합한 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활용한다. 피부두겹두께가 두꺼울수록 체지방량이 많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측정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