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문화언어발달지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언어교육의 필요성
1.2. 영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중요성
2. 다문화 가정 영유아의 언어발달
2.1. 언어발달의 특성 및 문제점
2.2.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다문화 가정 영유아의 언어지도 방안
3.1. 교사를 통한 언어지도
3.2. 부모를 통한 언어지도
3.3. 사회적 지원과 제도적 노력
4. 결론
4.1. 다문화 가정 자녀의 언어발달 지원 필요성
4.2. 다각도의 언어지도 방안 모색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언어교육의 필요성
최근 국내에서는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국제결혼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에서 자라는 영유아기 자녀의 경우 한국어가 서투른 외국인 부모 밑에서 언어발달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언어는 의사소통과 학습의 기본이 되므로, 다문화 가정 영유아의 원활한 언어발달을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영유아기는 언어습득의 가장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 언어발달이 지연되면 이후 인지발달과 사회성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지역사회, 교육기관 등이 다문화 가정 영유아의 언어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1.2. 영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중요성
영유아기는 인간이 최초로 언어를 학습하는 시기이며, 이 시기의 가정에서의 언어적 경험과 학습은 올바른 언어능력과 사고능력의 발달을 위해 가장 중요한 최적의 시기이다. 영유아기의 부모의 언어수준과 환경 요인은 영유아의 언어발달에서 가장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인생 전체의 언어능력과 사고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영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은 매우 중요하다.
2. 다문화 가정 영유아의 언어발달
2.1. 언어발달의 특성 및 문제점
다문화 가정 영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및 문제점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 부진은 그들의 인지발달에도 지연을 가져올 수 있다. 언어는 사고의 도구 뿐 아니라 소통의 도구라는 측면에서도 언어 부진은 인지발달에 치명적일 수 있다. 즉, 언어는 사고를 위한 실제적인 메커니즘이며 정신의 도구이므로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부진 문제는 언어만의 문제로 국한하여 이해할 수 없는 문제이기에 유아기 언어능력은 중요하다.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에 관한 연구들은 다문화 유아들의 언어능력의 수준 및 특성을 알아 본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언어능력은 일반유아의 언어능력에 비해 어휘력, 언어 이해력, 언어 표현력, 읽기능력에서 전반적으로 떨어진다. 또한 절반 이상의 다문화 가정 아동이 언어치료수준까지 받아야할 정도로 한국어를 익히지 못한 것으로 나타...
참고 자료
네이버 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214&aid=0000078339
보건복지가족부 다문화가정 영유아 문제행동 경감 교육 프로그램과 일반 유아 문화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침서, 2009
학습참고용교안 ‘언어지도’,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이성미, “다문화코드”, 생각의 나무, 2001
김은미 외(2009). 다문화사회, 한국. 나남신서.
서 혁(2007). 다문화가정 현황 및 한국어교육 지원방안. 인간연구.
김민화 외(2008)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학회지.
김갑성(2006). 한국 내 다문화 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다문화가족자녀의 결혼이민 부모출신국 언어습득을 위한 교육지원사례연구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 4,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0-27-03, 2010 연구보고서 3-2) 이재분 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10.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