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교육의 질성적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화예술교육의 질성적 사고 필요성
1.2. 본 연구의 목적과 구조
2.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 교육관
2.1. 경험으로서의 예술과 질성적 사고
2.2. 문화예술교육의 목적: 미적 경험 산출
2.3. 교육자의 역할: 질성적 사고 유도
3.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개념과 문화예술교육
3.1. 문화자본과 문화예술교육 참여
3.2. 계층 간 문화예술교육 경험 격차
3.3. 균등한 미적 경험을 위한 교육정책
4. 결론
4.1. 이론과 실천의 연계 필요성
4.2.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질성적 경험 증진
4.3. 종합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화예술교육의 질성적 사고 필요성
문화예술교육은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 이는 현재 21세기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인 '4C 역량'의 함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에 있어 근간이 될 수 있는 방향성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문화예술교육이 양적 확장에 비해 실천적 영역에서의 질적 기여가 미흡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사회적 배경과 밀접한 철학의 기조가 미비하다. 이론의 근간을 이루는 철학이 명료히 정립되지 않아 이론적 영역에서 제각각의 교육철학으로 인한 혼동이 발생하고 있다. 근대적 예술관과 탈근대적 예술관, 즉 '예술을 위한 교육'과 '예술을 통한 교육'의 상호보완적 공생을 위해서는 예술의 외연 확장에 몰두하는 것이 아닌, '예술'이 무엇이며 '어떻게 예술로서 교육할 수 있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답변이 필요하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실증적 인식 및 참여에 관한 접근의 결핍이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모든 예술 장르를 가로지르는 전범위적 접근으로 양적 확장을 고무하였으나, 실질적 가치 실현에 있어 부족함을 보였다. 문화예술교육의 참여는 어떻게 이루어지며 인식과 경험 차이가 참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론이 실천되었는지 실증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존 듀이의 경험철학 관점과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개념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이론적 정립과 정책의 실천적 영역을 활성화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영역들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고 서로 수렴되어 교육적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2. 본 연구의 목적과 구조
본 연구는 존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 교육관과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개념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듀이가 제시한 경험으로서의 예술과 질성적 사고의 개념,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인 미적 경험 산출, 교육자의 질성적 사고 유도 역할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개념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계층 간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논의할 것이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이론과 실천의 연계 필요성, 질성적 경험 증진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과 구조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의 철학적·이론적 기반을 명확히 하고, 실증적 접근을 통해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 교육관
2.1. 경험으로서의 예술과 질성적 사고
듀이는 예술작품을 통한 심미적 경험뿐만 아니라 실제적, 지적 경험에서도 사태의 추이와 함께 발달하여 완결을 이룰 때 심미적 경험이 된다고 보았다. 경험으로서 예술을 바라보는 듀이의 관점은 예술을 경험의 이상적인 형태로 여기며, 예술이 지닌 미적인 특성을 통해 갖게 되는 미적 경험은 인간과 세계 간에 일어나는 가장 기본적인 교류의 결과라고 보았다.
듀이의 경험철학에 따르면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미적 체험은 자신의 삶을 재조정하고 재구성하여 내적인 성장이 가능해지는 완결된 형태의 하나의 경험으로 완성된다. 일상적인 삶 속에서 예술이 개인과 의미 있게 만날 때, 삶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예술에 대한 경험과 몰입을 통해서 자신도 ...
참고 자료
김대석, 성정민, 『교육과정과 수업의 이해와 실천』, 박영스토리, 2017, pp.92-104- 김경자, 『한국교육과정론』, 교육과학사, 2004, pp.42-43 ; Morshead. R. W, 『Patterns of Educational parctice : Theories of Curriculum』, The Pierian Press. Michigan, USA, 1995
김경자(2004), 전게서, pp.279-283; Tanner, 1997
고재희, 『역사적 접근의 교육과정 이해와 개발』, 교육과학사, 2010
Dewey. J 『Experience and Education』 NY.: Macmillian, 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