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지행동모델의 개념과 특징
1.1. 인지행동모델의 정의
인지행동모델이란 사람이 판단, 사고, 추리하며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인 인지이론과 함께 행동주의 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개념들을 통합하여 적용한 이론이다. 이러한 인지행동모델에서는 사람은 환경에 의해서만 행동하는 것도 아니고 심리적 특성에 의해서만 좌우되는 것도 아니며 전적으로 인지적ㆍ환경적 영향 사이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에 의해서 행동한다고 보고 있다.
1.2. 인지행동모델의 특징
1.2.1. 클라이언트 특징
클라이언트는 치료자와 함께 변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클라이언트는 치료 세팅 내외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된다. 클라이언트는 성취된 것이 유지되도록 인지적/행동적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클라이언트는 치료의 전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노력해야 한다.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대처 기제를 학습해야 한다. 클라이언트는 비합리적 신념과 사고 패턴을 인식하고 평가하여 합리적 사고로 전환해야 한다. 클라이언트는 자가 치료 능력을 기르고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1.2.2. 치료자 특징
치료자는 클라이언트와의 비협조, 힘의 갈등, 종결 등과 같은 이슈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인지행동모델의 일정한 절차를 유지하며, 문제에 전략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어야 한다. 치료자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대처기제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적 접근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자가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2. 인지행동모델의 이론적 배경
2.1. 인지행동모델의 기본 가정
인지행동모델의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활동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인지활동은 모니터 되고 변경 될 수 있다. 셋째, 바람직한 행동변화는 인지 변화를 통해 영향을 받는다. 즉, 인간의 사고가 정서와 행동의 결정인자라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정서, 행동 그리고 문제해결에 역기능적으로 작용하는 사고패턴을 확인하고 클라이언트가 이를 직면하여 변화하도록 클라이언트를 돕는 것이 중요하다.
2.2. 인지행동모델의 접근 방법
인지행동모델의 접근 방법은 문제에 초점을 둔 시간제한적인 접근이다. 인지행동모델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대처기제를 학습하는 교육적 접근을 강조한다.
인지행동모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