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아킬레스건 파열(Achilles tendon rupture)의 정의
아킬레스건 파열(Achilles tendon rupture)의 정의는 발목 뒤에 있는 굵은 힘줄인 아킬레스건이 끊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운동을 하다가 발을 잘못 디뎠거나 뛰어 올랐다가 착지를 잘못하거나 했을 때 생기기 쉬우며, 이 같은 동작은 대부분 배구나 축구에서 발생한다.
1.2. 아킬레스건 파열의 원인 및 발생 기전
아킬레스건 파열의 주된 원인은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체 아킬레스건 파열의 75%가 스포츠 활동 중에 발생하며, 주로 30~40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5배 이상 발병률이 높다.
아킬레스건은 보행 주기 중 발 들림(push-off) 상태에서 가장 많이 파열되며, 그 다음으로는 갑작스러운 족배 굴곡, 족저 굴곡 상태에서의 강한 족배 굴곡 동작 시에 파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과도한 부하로 인해 건의 미세 손상이 누적되면 만성 건염이 발생하고, 이것이 급성 파열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통풍, 갑상선 기능항진증 등의 염증성 관절병증과 스테로이드, 퀴놀론계 항생제 등의 약물 사용도 아킬레스건 파열의 위험 요인이 된다. 이는 아킬레스건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하여 취약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이처럼 아킬레스건 파열의 원인은 주로 과도한 운동이나 외상에 의한 급성 손상과 더불어 기저 질환 및 약물 사용으로 인한 만성적 퇴행성 변화가 주요 발병 기전이라고 할 수 있다.
1.3. 아킬레스건 파열의 임상 증상
발목 뒤에서 '뚝'하는 소리와 함께 갑작스런 통증이 발생한다. 족저 굴곡 운동의 제한이 발생하며, 파열된 부분이 함몰되어 오목한 모습이 관찰된다. 걷기는 가능하지만 발끝으로 설 수 없다. 좌상의 기본 증상인 종창, 근육경련, 근육 내 출혈, 변색, 허약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4. 아킬레스건 파열의 진단적 접근
아킬레스건 파열 시 손상된 부위의 함몰을 촉진하여 진단할 수 있다. 신체검진을 통한 증상의 확인이 주된 진단 방법이다.
톰슨(Thompson) 압박 검사는 엎드려 누워서 무릎을 90°로 굽히고 종아리를 쥐어짜면 발이 수동적인 족저 굴곡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사라지거나 약해지면 아킬레스건 손상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의사의 진단을 확진하기 위해 초음파조영술 또는 MRI를 시행하기도 한다. 좌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골절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X-선 검사를 실시한다. 단순 X-ray에서는 건을 직접 볼 순 없으나 Kager씨 삼각형의 소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확인 가능하며, 초음파 MRI에서 아킬레스건의 연속성의 소실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아킬레스건 파열의 진단은 신체검진을 통한 증상 확인과 더불어 영상 검사 기법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파열 상태와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1.5. 아킬레스건 파열의 치료 방법
아킬레스건 파열의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된다. 보존적 치료는 파열된 건의 양 끝이 닿아 간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발을 첨족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주된 치료법이며, 주로 석고고정을 이용한다. 반면 수술적 치료는 급성 손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가 젊은 운동 선수에게 적극적으로 추천되고 있으며, 다양한 봉합 방법을 이용한 개방적 술식이 널리 이용된다. 수술적 치료는 파열된 인대의 길이와 긴장도를 정상적으로 회복하여 재파열 빈도가 적고 조기에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절개선에 의한 비복신경의 손상, 상처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보존적 치료의 장점은 수술적 합병증을 피할 수 있다는 점과 재원기간 부재 및 의료비용이 절감되는 점이며, 단점은 재파열률이 20-30%정도로 높다는 점과 석고고정을 6~8주의 장기간 유지해야 하여 관절운동범위가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 수술적 치료의 장점은 재파열 빈도가 적고 조기에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다는 것이며, 단점은 절개선에 의한 비복신경의 손상, 상처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 모두 장단점이 있어 환자의 나이, 활동 수준, 손상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한다.
2. 본론
2.1. 보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