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 전통예술과 현대 문화예술 콘텐츠 결합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들어가는 글
1.2. 한국 전통문화와 현대 문화예술 콘텐츠의 결합
2. 한국 전통예술의 가치와 활용
2.1. 한국무용의 개념과 특징
2.2. 한국무용의 가치 창조
2.3. 한국무용의 OSMU 사례
3. 전통문화와 디지털 혁명의 융합
3.1. 비즈니스 생태계와 서비스 가치 네트워크
3.2. 디지털 기술이 전통문화 유산에 미친 영향
3.3. 조선왕조실록의 디지털 복원과 가치 변화
4. 결론
4.1. 전통문화와 현대 콘텐츠의 조화
4.2.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들어가는 글
세계는 지금 '한류열풍(韓流烈風)'의 시기에 있다. '한류'란 대한민국의 대중적인 문화가 외국에서도 유행하고 관심을 얻는 것이다. 1996년 중국으로 수출된 한국드라마를 시작으로 한국 대중문화가 인기를 얻으며 중국 언론이 붙인 용어인 '한류'에 '열풍'이란 단어가 더해져 하나의 사회현상을 표현하는 신조어로 부상했다. 본격적으로 2002년부터 "겨울연가"를 비롯한 한국 드라마들이 일본, 중국,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인기를 얻기 시작하며 지금은 한류스타로 불리는 '방탄소년단(BTS)'의 영향으로 전 세계에서 K-POP 열풍이 불고, 한국의 대중문화를 좋아하는 전 세계의 사람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또한 한국의 다른 문화들도 알고 싶어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제는 외국인에게 새로운 트렌드가 된 한류문화 속에 한국에서 이전부터 내려온 전통이 점점 사라지고, 대중화 된 한류만 남게 되는 것은 진정으로 한국을 알리는 한류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전통과 대중성을 동시에 잡아 오래가고 튼튼한 한류문화 즉 가치창조를 통해 지속 가능하고 보존이 되는 콘텐츠로 한국을 널리 알릴 수 있게 만들 수 있을까?
1.2. 한국 전통문화와 현대 문화예술 콘텐츠의 결합
한국 전통문화는 오랜 세월에 걸쳐 이어져 내려온 아름답고 고유한 문화이다. 우리는 이러한 전통문화를 지켜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단순히 옛날 모습 그대로를 보존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취향에 맞춰 변화와 재창조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렇게 변신하고 재창조된 우리의 문화는 융복합 문화 콘텐츠라는 산업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점점 더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역사와 전통이 보존된 장소의 관광지화부터 게임이나 영화 등의 상품화까지 우리 문화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지니고 계속해서 콘텐츠로 생산되고 있다.
특히 영상 콘텐츠의 경우 퓨전 사극 드라마가 많은 인기를 끌었는데, 대표적으로 궁중의 식생활을 감각적으로 보여주었던 '상류사회'와 절제되고 품위 있는 로맨스를 그려냈던 '불멸의 이순신' 등이 있다. 정통보다는 조금 더 친근한 퓨전 사극의 흥행 사례가 많았지만, 이는 현대와 전통의 모습이 동시에 드러난 융합형 문화 콘텐츠라고 볼 수 있다. 드라마나 영화와 같은 영상 콘텐츠 속에는 그 시대의 역사적 사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의 궁궐, 의복, 풍습 등 다양한 문화를 자연스럽게 함께 담아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실감 나게 표현이 가능하고, 이는 더 많은 사람의 공감을 이끌어내기에 적합한 콘텐츠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전통문화를 VR, AR, 그리고 MR로 즐기기도 한다. 실감 콘텐츠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금은 훼손되어 볼 수 없는 문화유산을 발전된 기술로 만나볼 수 있게 되었다. 비교적 최근, 화성성역의궤를 바탕으로 제작된 수원화성 MR 혹은 문화유산 탐방 어플 등이 이러한 예시이다. 예전의 전통 문화 산업은 그저 박물관 혹은 가이드 투어 정도로 그쳤다면, 스마트 시대에 들어서는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좀 더 입체적으로, 직접 체험하는 방식의 문화 관광 산업이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산업은 코로나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코로나로 인해 언택트 시대로 성큼 다가가게 된 사람들에게 오프라인 관광의 대체재로써 활용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술의 융합으로 우리 전통문화 산업은 자연스레 내국인은 물론이고 외국인까지 영역을 넓히며 지금도 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한편, 한국적 가치를 살린 디자인으로 우리의 문화를 성공시킨 사례도 찾아볼 수 있었다. 'K-뷰티'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대한민국의 메이크업 시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부분이다. 이 중에서도 우리가 흔히 아는 아모레퍼시픽의 '려'는 프리미엄 한방 샴푸의 확실한 이미지를 굳히면서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4050 여성을 타겟으로 한 고급스러운 느낌을 바탕으로 한방 기술과 우리나라 전통의 이야기적 요소를 잘 풀어냈다. 전통을 기반으로 지금의 K-뷰티가 가지고 있는 현대적 감각을 재해석한 것이다. 도자기와 뒤꽂이 등 전통적인 한국의 멋을 담은 용기를 제작해 이 또한 소비자들의 호평을 받기도 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국의 멋을 담은 전통 문양이 다시금 젊은 세대들의 각광을 받기도 한다. 그 예로써 국립중앙박물관의 '고려청자 에디션'이 큰 관심을 받은 사례가 있다. 전통 디자인에 대해 긍정적인 2030세대들은 고급스럽고 우아한 문양을 넣은 스마트 기기 액세서리에 열광했고, 연달아 주문 폭주가 이어졌다. 이러한 고급스러운 우리의 문양은 자동차, 혹은 고급 만년필에도 사용되면서 고급화 전략에 사용되기도 했다.
이처럼 우리의 전통 문화가 다시금 현대적이고, 세련되게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친근한 콘텐츠로서 성공을 만들어내는 문화 산업의 주역이 되고 있다. 신선하지만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많은 현대 소비자...
참고 자료
민필원. 『한류열풍 속 대중문화를 통한 아시아 선교의 가능성』, 성경과 신학 64, no.0 (2012): 65-87.
이기청. 한국무용, 『학문명백과』, 형설출판사(2014)
박미영.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무용의 한恨과 신명神明 연구』,한국무용교육학회지 28, no.1 (2017): 137-157
이창식. 『한국의 전통문화유산』, 월인, 2018, 307.308.321쪽
정옥조. 『웰빙시대의 무용 트렌드와 전망』,(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권5호,2012년),181-197
김혜련. 『한국무용 한류 화에 대한 인식과 중요도 결정요인 탐색: 데이터 마이닝 기반 의사결정나무분석의 적용』,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7, no.1 (2019): 17-29.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2-2024. (2021). 차민경, 김소연, 김인설, 연수현, 유은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비즈니스 생태계 시대의 도래. (2015). Eamonn kelly. Deloitte Anjin Review
문화예술산업 육성을 위한 서비스 가치 네트워크 모델 구성과 특성 비교. (2014). 권혁인, 이진화. 문화정책논총, 28(1), 65-89.
반숙희. (2016). 문화유산의 디지털화에 따른 가치 변화.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