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필리핀 해외 봉사 지원동기와 관련경험, 사람들과의 갈등 해결방법, 향후목표 알려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필리핀 해외 봉사 지원동기 및 관련경험
1.1. 지원동기
1.2. 관련경험
2. 사람들과의 갈등 해결방법
3. 향후목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필리핀 해외 봉사 지원동기 및 관련경험
1.1. 지원동기
필리핀 해외 봉사에 지원하고자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문화와 언어에 관심이 많기 때문이다. 해외 봉사를 통해 필리핀의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타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개방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필리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싶기 때문이다. 교육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 아동들의 발전을 돕고 싶으며, 이를 통해 나 자신도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유능한 의사소통 능력과 협력적인 태도를 발휘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봉사자들과 협력하여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쌓고 싶다. 이를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자질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필리핀 해외 봉사는 나의 관심사와 적성, 그리고 발전 가능성과 잘 부합하기에 지원하게 되었다.
1.2. 관련경험
필리핀 해외 봉사 활동에 관련한 경험을 소개하겠다. 먼저 대학교 3학년 때 진행한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달성을 위한 국제 보건 봉사 활동'에 참여하였다. 이 활동에서는 필리핀 현지에서 보건소 지원과 지역주민 대상 교육 활동을 수행하였다. 보건소 내 영양제 재고 관리, 환자 접수 및 진료 보조 등의 실무를 경험하였고,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위생 교육과 구강 관리 교육도 진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준비와 시연 과정에서 문화적 차이로 인한 이해도 차이를 경험하였지만, 현지 관계자들과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
참고 자료
박선영, "자원봉사 활동의 효과와 관리 방안,"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9.
김영호, "자원봉사자 모집과 선발의 중요성," 한국사회복지학회지, 28권, 3호, 2020, pp. 45-67.
이현경, 김희순, 조은희, 김상희, 김정희. (2015). 간호교육자가 인지한 국내 간호학생들을 위한 국제보건 핵심역량.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4), 560-572.
방경숙, 이인숙, 박영숙, 채선미, 강현주, 유주연, 박지선, 오상준. (2024. 저개발국 모자보건 수 준 향상을 위한 국제보건사업 전략 : 에티오피아 티그라이주 사례를 중심으로.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1(1), 1-9.
김희숙, 이도영. (2021). 국제간호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국제보건 간호역량과 국제개발협력 이해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28(1), 50-60.
고정아, 김희영. (2022). 간호대학생의 국제보건간호역량과 다문화 수용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지, 22(10), 383-391.
김영숙, 한미영. (2018). 간호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 셀프리더십과 국제보건역량과의 융복합적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6(9), 347-357.
변혜선, 박미경. (2020). 임상간호사의 다문화 수용성과 범문화 효능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5(1), 91-99.
류윤지, 이윤미. (2021). 응급실 간호사의 문화역량과 문화간 의사소통역량이 외국인 환자 임상 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환자간호학회지, 14(1), 40-49.
윤효정, 조성현. (2017). 신입간호사의 지역간 이동 양상과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3(3), 353-362.
박은태, 김진현. (2020). 국가 간 간호사 상호인정협정의 현황과 한국의 정책방향 모색. 간호행 정학회지, 26(1), 1-10.
최윤경, 안정원, 김금순. (2018). 간호사의 문화역량, 문화간 의사소통역량, 병원의 문화역량지 지가 외국인환자 간호 임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8(4), 518-543.
안정원, 장혜영. (2019).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보건행정학회 지, 29(1), 4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