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 "그림자의 노래" 기획서와 시놉시스
1.1. 서론
영화가 대중문화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감에 따라 영화비평 또한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변해가고 있다. 초기에는 영화에 대한 사실적 기술 위주의 비평이 이루어졌다면, 영화가 예술로 인정받게 되면서 학문적 이론과 사회적 메시지 등을 대입한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비평의 두 가지 패러다임을 저널리즘 영화비평과 이론 영화비평이라고 할 수 있다.
저널리즘 영화비평은 대중에게 영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영화의 주제, 출연진, 연출 등을 간략히 전달하여 대중들이 영화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영화에 대한 감상평을 쓰는 행위 자체가 권력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비평의 주체가 다변화되고 있다.
한편, 이론 영화비평은 영화를 문화, 사회적인 맥락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로, 비평가 자신의 가치 판단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창조적으로 제시한다. 이는 대중들에게도 요구되고 있어, 일반 대중들도 개인 저널을 통해 영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게 되었다.
이처럼 저널리즘 영화비평과 이론 영화비평은 영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그 목적과 접근 방식, 시대적 흐름에 맞춰 발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1.2. 본론
1.2.1. 기획서
코로나19 팬데믹의 무게감 아래, 사람들은 물리적, 정신적 격리를 경험하며 감정의 표현이 어려워졌다. 일상 속에서 우리는 자신의 감정을 가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았다. 마스크는 이런 상황에서 더욱 감정을 숨기는 도구가 되었다. 그림자의 노래는 이러한 감정의 숨김을 그림자의 통찰력을 통해 다루려 한다.
그림자는 빛에서 비롯된다. 그림자 없이 빛도, 빛 없이 그림자도 세상에 존재할 수 없다. 이처럼 우리 감정의 균형도 그림자와 빛의 관계와 같다. 감정의 극단은 그림자처럼 어둡고, 그 감정의 근원과 진실은 빛과 같이 밝다. 모든 인간은 그림자와 함께 태어난다. 그러나 이 그림자는 단순한 빛과 어둠의 플레이가 아니다. 그림자는 그 사람의 감정과 기억, 그리고 가장 깊은 욕망을 반영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림자의 진짜 의미를 인식하지 못한다. 그들은 그것을 단순한 물리적 현상으로 여긴다.
주인공, 지혜는 그림자를 듣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부모로부터 전해진 특별한 능력이다. 그녀는 태어날 때부터 사람들의 그림자가 그들의 감정과 생각을 말하듯이 그녀에게 속삭이는 것을 듣곤 했다. 지혜는 그림자를 통해 사람들의 숨겨진 감정을 듣게 된다. 그녀의 능력은 우리가 무심코 무시하거나 숨기려고 하는 그림자의 소리, 즉 숨겨진 감정의 목소리를 듣게 해준다. 지혜는 이러한 감정들을 들으며 사람들의 아픔과 기쁨을 함께 나누게 된다.
주인공, 지혜는 그녀의 능력을 숨기려 했지만 그림자의 속삭임을 무시할 수 없게 되고, 그녀는 결국 사람들에게 그림자와의 대화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등장 인물을 소개하자면, 지혜는 서른 살의 여성이다. 어릴 적부터 그림자와 대화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지녔다. 이 능력 때문에 어린 시절에는 이해받지 못하며 고독을 느꼈다. 그러나 성장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