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비간호업무 수행이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지방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비간호업무 수행이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주제 및 필요성
1.1. 연구 주제 선정 배경
1.2. 간호사의 이직률 현황 및 문제점
1.3. 간호사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간호사의 이직요인 분석
2.1. 개인적 요인: 업무 적응, 직무 스트레스, 건강 문제 등
2.2. 조직 요인: 근무 환경, 간호조직 문화, 인간관계 등
2.3. 사회적 요인: 보상, 복지, 교육/지원 체계 등

3. 간호사 이직 예방을 위한 전략
3.1.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3.2. 조직 문화 개선 방안
3.3. 제도적 지원 정책

4. 결론 및 제언
4.1. 연구 결과 요약
4.2. 간호사 이직 감소를 위한 실천방안
4.3. 향후 연구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연구주제 및 필요성
1.1. 연구 주제 선정 배경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2022년 국제 간호사의 날을 맞아 전국 145개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만7,2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간호사들은 이직을 고려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10년차 간호사 중 이직을 고려한 비율이 80% 이상이었으며, 2019년 고용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간호사 이직률은 15.2%로 다른 산업군 이직률(4.9%)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는 간호사의 이직률이 다른 산업군의 3배에 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들은 이직을 고려하는 이유로 열악한 근무조건과 노동강도, 낮은 임금 수준, 직장문화와 인간관계, 임신·출산·육아·가족돌봄 등을 들고 있다. 따라서 간호사 이직 사유와 영향요인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이 주제를 선택하게 되었다.

직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률이 낮아질 것이라 생각하여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찾아보았으며,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이 사회나 환자에 미치는 영향도 알아보았다.간호사의 이직은 간호 인력 수급과 고급 간호 인력 양성 측면에서 큰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신규 간호사의 이직은 새로운 인력 선발로 인한 시간적, 재정적 손실을 발생시키며 부서의 남은 간호사의 사기 저하와 소진뿐 아니라 기관의 인력관리능력을 저하시킨다.

또한 입사 후 신규 간호사가 간호현장에 적응하며 보건의료 전문인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1년 정도로 중요한 기간인데, 신규 간호사의 이직률 증가는 전문 간호 인력 양성과 배치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환자의 사망률 증가, 감염병 증가 등 의료의 질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간호사가 이직의도를 가진 채로 근무를 할 경우 생산성 저하로 인해 간호의 질 또한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장기적으로 근무하지 않고 현장을 빨리 떠나는 간호사가 여전히 많으며, 이와 관련한 좀 더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을 낮추고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이직 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1.2. 간호사의 이직률 현황 및 문제점

간호사의 이직률은 높은 편이다. 보건의료노조가 2022년 조사한 바에 따르면, 3~10년차 간호사 중 이직을 고려한 비율이 80% 이상이다. 또한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간호사 이직률은 15.2%로 타 산업군의 이직률 4.9%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간호사들이 이직을 고려하는 주된 이유는 '열악한 근무조건과 노동강도'(48.9%)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낮은 임금 수준'(27.4%), '직장문화와 인간관계'(5.4%), '임신·출산·육아·가족돌봄'(4.8%) 등이었다.

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신규간호사의 이직은 새로운 인력 선발에 따른 시간적·재정적 손실을 발생시키며, 남은 간호사의 사기 저하와 소진을 초래한다. 또한 기관의 인력관리 능력도 저하시킨다. 이는 궁극적으로 간호의 질 저하, 환자 사망률 증가, 감염병 증가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도 근무 경력이 짧은 간호사가 많아 전문 간호 인력 양성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 이직률을 낮추고 안정적인 인력 수급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1.3. 간호사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사의 이직에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업무 적응의 어려움, 높은 직무 스트레스, 건강상의 문제 등이 있다. 조직 요인으로는 열악한 근무 환경, 폐쇄적이고 수직적인 간호조직 문화, 원활하지 않은 인간관계 등이 있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낮은 보상 수준, 부족한 복지 지원, 교육 및 지원 체계의 미흡 등이 있다.

개인적 요인 중에서도 신규 간호사들이 겪는 적응의 어려움은 주요한 이직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신규 간호사들은 실습과 달리 복잡하고 강도 높은 업무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자신의 역량에 비해 과도한 업무 강도에 스트레스를 느끼게 된다. 또한 간호 조직 내 폐쇄적이고 수직적인 문화에서 상급자의 감정적 언어와 태움 문화로 인해 정서적 고통을 겪게 된다.

조직 요인으로는 열악한 근무 환경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교대 근무, 긴 노동시간, 과중한 업무 등으로 인한 피로 누적과 함께 부족한 인력으로 인해 적절한 휴식을 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더욱이 간호조직 내 수직적인 위계 구조와 폐쇄적인 분위기로 ...


참고 자료

Lee, S.-H. (2021, April 30). Factors influencing new nurses’ recognition of turnover intention : Content analysis.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Dae Han Society of Industrial Management. https://doi.org/10.22678/jic.2021.19.2.081
박지혜. (2019). 간호사의 이직 사유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
http://www.riss.kr/link?id=T13925742&outLink=K
김은혜. (2015).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이직 비용 추정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https://hdl.handle.net/10371/118807
조영경. (2013).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이직에 관한 구조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252735&outLink=K
이성경. (2007). 보건간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서울.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717
김주연. 2022.05.13. 타직종보다 3배 높은 간호사 이직률. 청년의사.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3018 (2024.4.14.)
기지선(2021). "교대근무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이직 : 이직의도의 매개효과 분석(박사학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RISS.
김은숙 외(2020).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멘토링 기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5-1:37-43.
박보현 외(2023). "모자보건 분야 간호사를 위한 임상실무 슈퍼비전과 멘토링에 관한 주제 범위 문헌고찰".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7-4:215-230.
서예진, 유미(2023). "병원 이직간호사의 이직 전 일과 삶의 균형, 간호근무환경, 간호조직문화, 직무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현 임상간호사군과 비 임상간호사군". 29-4:385-396.
이송현(2021). "신규간호사가 인식한 이직의도 영향요인 : 내용분석". 산업융합연구. 19-2:81-87.
임은진, 이윤미.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전문직 정체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10, No.1, 31-40, February, 2017.
황옥남 외 다수. 성인간호학 상권. 제 7판. 현문사.
상식으로 보는 세상의 법칙 : 심리편. ‘번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80791&cid=58345&categoryId=5834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