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실험조리 실습 고체식품계량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실험 목적
1.2. 실험 재료 및 기구
2. 고체 식품의 계량
2.1. 밀가루 계량
2.2. 설탕 계량
2.3. 마가린 계량
3. 점성이 큰 액체 식품의 계량
3.1. 물엿 계량
3.2. 식용유 계량
4. 올바른 식품 계량 방법
4.1. 무게 측정 방법
4.2. 부피 측정 방법
4.3. 주요 식품 계량 방법
5. 목측량과 실측량의 차이
5.1. 목측량과 실측량 비교
5.2. 정확한 목측량 익히기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식품의 종류에 따른 올바른 계량방법을 알아보고 식품의 정확한 계량법을 익히며, 목측량과 실측량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식품의 계량은 무게와 부피로 측정할 수 있다.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한 방법이며, 식품의 무게를 재기 위해서는 저울을 사용한다. 저울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평평한 곳에서 영점을 맞춰야 한다. 부피를 측정할 때는 계량컵이나 계량스푼을 이용한다.
밀가루는 입자가 미세하고 균일하지 않아 저장하는 동안 눌려 용량이 줄어들므로, 계량 전 체에 친 후 계량컵에 수북이 담고 스패튤러로 수평으로 깎아 계량해야 한다. 실험 결과 체에 치기 전과 체에 친 후 중량은 약 7% 차이가 났다.
백설탕은 덩어리 등이 없도록 휘저은 다음 계량해야 하며, 흑설탕은 표면에 시럽 피막이 존재하여 입자끼리 서로 밀착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계량컵에 꾹꼭 눌러 담고 수평으로 깎아서 계량해야 한다. 흑설탕의 경우 눌러 담았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차이는 약 20% 정도 났다.
지방류 식품은 저울로 중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용량으로 측정할 때는 실온에 놓아둔 다음 계량기구에 꼭꼭 눌러 수평으로 깎아서 계량할 수 있다. 마가린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1컵, 즉 200ml의 계량컵을 이용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목측량은 눈대중으로 어림잡아 예측하는 양으로, 목측량과 실제 무게의 오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실험에서는 목측량과 실측 평균의 차이가 약 25% 정도였다. 따라서 여러 번 반복하여 식품을 계량하면서 목측량의 정확한 크기를 익히도록 해야 한다.
1.2. 실험 재료 및 기구
실험을 위해 필요한 실험 재료는 가루식품인 밀가루 200g, 백설탕 200g, 흑설탕 200g이며, 고체지방으로 버터 1통과 마가린 1통을 준비하였다. 또한 점성이 큰 액체식품인 물엿 200g과 식용유 200g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기구로는 전자저울, 계량컵(1C), 스패튤러, 체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식품의 종류에 따른 올바른 계량방법을 익히고 식품의 정확한 계량법을 습득하고자 한다.
2. 고체 식품의 계량
2.1. 밀가루 계량
밀가루는 입자가 미세하고 균일하지 않아 저장하는 동안 눌려 용량이 줄어드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밀가루를 계량할 때는 체에 친 후 계량컵에 수북이 담고 직선으로 된 스패튤러를 이용하여 수평으로 깎아 계량해야 한다. 밀가루는 용량으로 재는 것보다는 중량으로 재는 것이 더 정확하다. 실험 결과 체에 치기 전과 체에 친 후 중량은 약...
참고 자료
유영상(1997), 식품 및 조리원리, 광문각
한국인 영양권장량, 한국영양학회(2010)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2012), 2011 표준식품성분표, 교문사
아라후네 요시타카 외 8명(2013), 맛있는 요리에는 과학이 있다, 홍익출판사
김미리 외 5명(2015), 핵심원리 이해를 위한 실험조리, 파워북
우인애 등(2012). 한눈에 보이는 실험조리. 교문사. pp.25-26.
대한당뇨병학회,실제로 식품을 계량해봅시다.
https://www.diabetes.or.kr/general/food/sub03.php?idx=1,2022.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