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망각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망각이론
2.1.1.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이론
2.1.2. 간섭 이론
2.1.3. 복습과 재학습 이론
2.1.4. 동기 부여와 감정의 영향 이론
2.2. 망각을 줄이기 위한 방안
2.2.1. 주의집중 전략
2.2.2. 조직화 전략
2.2.3. 시연 전략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기억은 일반적으로 단기 기억부터 시작하여 반복적인 노출 또는 중요한 정보라면 장기 기억으로 옮겨가게 된다. 하지만 모든 정보가 영구히 장기 기억에 보존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망각 과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망각이론은 기억의 소실 또는 소멸과 관련된 심리학적 연구분야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억이 약해지거나 사라지는 현상을 다룬다. 이에 관한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망각의 원인과 특성을 이해하고 망각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2. 본론
2.1. 망각이론
2.1.1.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이론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이론은 기억된 정보가 처음에는 빠르게 소실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천천히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즉, 기억의 강도가 시간에 비례하여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는 처음 영어 단어를 외우고 이를 적었을 때는 모두 기억할 수 있지만 10분이 지나면 점차 단어를 잊어버리기 시작하고 1시간이 지나면 영어 단어 절반 가량을 망각하며 다음날이 지나면 이보다 더 많이 단어를 적지 못하는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1개월이 지나면 거의 80%를 잊어버리면서 처음 적었던 영어 단어보다 현저하게 적지 못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기억된 정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빠르게 소실되는 경향을 보인다.
2.1.2. 간섭 이론
간섭 이론은 다른 정보의 간섭으로 인해 망각이 발생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간섭은 순행간섭과 역행간섭으로 구분된다. 순행 간섭은 기존에 학습한 정보가 새로운 정보의 학습을 방해하여 새로운 학습을 망각하게 되는 것이다. 역행 간섭은 새로 학습한 정보가 기존에 학습한 정보를 방해하여 기존 정보를 망각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전화번호를 사용하게 되면 점차 새로운 번호를 기억하면서 이전에 사용했던 번호를 잊어버리게 되는데, 이는 순행 간섭의 사례이다. 또한 새로운 취미를 배우게 되면 이전에 익숙했던 기존의 취미나 활동을 잊...
참고 자료
방병일, 2009, 기술교육에서의 망각이론 적용 효과성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p.18~24
기억력을 높이는 5가지 원리, 이태연, 스터디포스 언어과학연구소, 2011.03.04.
이정모(2017). 인지심리학. 학지사.
박주용(2021). 심리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정태현, 허성호, 한민(2023). 현대심리학개론. 솔과학.
김효상(2016). 에빙하우스의 망각이론을 적용한 영어어휘학습 게임 디자인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류소형(2021). 학습 및 기억심리학. 시대고시기획.
임효진, 선혜연, 황매향, 여태철(2023). 교육심리학. 학이시습.
정태연 외(2023). 현대심리학개론. 솔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