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cute renal failur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 방법
2. 문헌고찰
2.1. 급성신부전의 정의
2.2. 급성신부전의 원인
2.3. 급성신부전의 증상
2.4. 급성신부전의 진단
2.5. 급성신부전의 치료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진단적 검사 결과
3.3. 약물 요법
3.4. 간호진단
3.5. 간호계획 및 수행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급성신부전의 연구 필요성
급성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신체 내에 질소 노폐물이 축적되어 혈액 내에 고질소혈증이 일어나고, 체액 및 전해질 균형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 급성신부전은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10% 정도에서 나타나며,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30%에서 나타난다. 이렇게 많은 환자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급성신부전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이 필요하다. 급성신부전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파악하고, 대상자의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적절한 간호 제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사례 연구를 통해 급성신부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대상자 중심의 효과적인 간호 중재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의 목적
급성신부전의 치료 목적은 원인을 제거하고 영구적인 콩팥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다. 우선, 콩팥 독성물질인 약물은 중단해야 하며 체액과 전해질 균형을 위해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혈액을 여과하고 전해질을 조절하기 위해 신대체요법을 시작하며, 폐색이 있다면 제거해야 한다. 적당한 칼로리와 단백질, 나트륨을 공급하며 영양 관리를 해야 한다. 급성신부전은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콩팥의 영구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혈액검사와 함께 병력청취와 신체검진이 진단에 필수적이다. 급성신부전 치료의 핵심은 원인을 제거하고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는 것이다.
1.3. 연구 방법
이 사례연구는 2022년 10월 24일 ~ 11월 04일까지 실습기간 중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직접관찰, 보호자와의 면담, 환자의 EMR 기록 및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시나리오를 확인하면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선배들에게도 물어보고 인터넷과 책에서 자료를 얻으면서 알아보았으며, 케이스를 쓰면서도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더 공부하며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2. 문헌고찰
2.1. 급성신부전의 정의
급성신부전이란 신장 기능이 수 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이다. 신장 기능 저하의 결과로 신체 내에 질소 노폐물이 축적되어 혈액 내에 고질소혈증이 일어나고, 체액 및 전해질 균형에 이상이 생긴다. 급성신부전은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10% 정도에서 나타나며,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약 30%에서 나타난다.
2.2. 급성신부전의 원인
급성신부전의 원인은 크게 신전성, 신성, 신후성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신전성 출혈이나 체액 손실로 인한 순환 혈액량 감소, 콩팥으로 유입되는 혈관의 협착이나 폐쇄, 심박출량의 저하 등으로 인해 콩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들어 사구체여과율이 저하된 상태이다. 구토나 설사로 인한 심한 탈수, 심부전, 간경화, 패혈증 등으로 신장 혈류량이 줄어들면 발생할 수 있으며 급성신부전의 55~70%가 신전성으로 일어난다.
신성 콩팥질환이나 콩팥독성 물질에 의해 콩팥 실질조직이 파괴되어 초래되는 것으로 급성 신부전 상실의 25~40%를 차지하며 신장 자체에 사구체 질환, 세뇨관 질환, 간질 질환, 신혈관 질환 등이 생겨 발생할 수 있다.
신후성 돌, 종양, 요로협착 등으로 요로계의 어느 부위가 폐색되어 초래되는 것으로 급성신부전 상실의 약 5%를 차지한다.
2.3. 급성신부전의 증상
급성신부전의 주요 증상은 소변량 감소(핍뇨)이다. 그러나 절반 정도의 환자에게서 소변량이 어느 정도 유지되는 비핍뇨성 신부전증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외에도 오심 및 구토, 부종,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 고칼륨혈증, 산혈증, 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혈액계 증상으로는...
참고 자료
『황옥남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상권 제7판, 현문사』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64-서울대학교병원
염경인, 한승철, 윤영윤, 문정미, 전병조, 허탁, 민용일. (2004). 응급실에 내원한
급성신부전 환자의 예후인자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5(4), 240-247.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71-서울아산병원
기본간호중재와 술기(수문사) 송경애 외 9명
원종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현문사.
http://patient.druginfo.co.kr - 드러그인포
https://www.health.kr- 약학정보원
차영남 외 NANDA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박은영 외 6명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성미혜 외 4명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제 9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윤은자 외 12
제 4판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양선희 외 9
제 2판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원종순 외 4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서울아산병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학위논문, 2004년, 염경인, 급성신부전 환자의 예후 인자 분석
약학정보원, 대한민국 의약품 정보의 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