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세트아미노펜 약물중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약물중독
1.1. 정의
1.2. 우리나라 중독환자 현황
1.3. 중독환자의 치료방법
1.3.1. 일반적인 치료
1.3.2. 해독제
1.3.3. 위 내용물 배출
1.3.4. 독성 흡수
1.3.5. 제거 증진
2. 아세트아미노펜 중독
2.1. 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 기전
2.2. 중독 시 증상 및 필요 진단 검사
3. 사례관리
3.1. 아세트아미노펜 중독 환자 사례
3.2. 간호중재 (치료 / 프로토콜 / 알고리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약물중독
1.1. 정의
약물 중독은 고의 혹은 실수로 치료적 약물을 과량 복용하여 약물이 나타내는 치료적 효과 외의 독성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는 상태이다. 학령기 이전의 소아에서는 치료적 약물이 아닌 가정 내 물질(비누, 화장품 등)에 실수로 노출되는 '무독성 노출 혹은 복용(Nontoxic exposure or ingestion)'이 가장 흔하며, 이 경우 대부분 별다른 처치 없이 관찰할 수 있는 안전한 경우이다. 청소년기 이상의 연령에서 발생하는 약물 중독은 대부분 자살을 시도하는 등의 의도적인 경우가 많다. 약물 중독은 자살 발생률이 높은 청소년기와 노년기에서 그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1.2. 우리나라 중독환자 현황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약물중독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중앙응급의료센터의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전체 중독환자 수는 45,818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남성은 23,828명, 여성은 21,990명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1,965명, 경남이 1,982명의 중독환자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수만 명의 약물중독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관심과 대책 마련이 필요한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1.3. 중독환자의 치료방법
1.3.1. 일반적인 치료
응급실에 내원한 급성 중독 환자에게는 일반적인 응급 환자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지지요법이 필요하다. 우선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을 관찰하며, 필요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호흡부전을 해결한다. 또한 혈압, 맥박, 소변량 등 혈액순환을 관찰하여 유지되도록 한다. 정맥로를 확보하고 일반 혈액검사를 시행한다. 이와 함께 특정 해독제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고, 위장관 처치나 활성탄 투여 등의 방법으로 독성물질의 흡수를 막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강제 이뇨나 혈액투석 등의 방법으로 독성물질을 제거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처치를 통해 대부분의 급성 중독 환자들의 증상은 호전될 수 있다. 다만 특정 해독제가 필요하거나 심각한 독성반응이 발생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1]
1.3.2. 해독제
약물 중독 환자에게 특정 해독제를 사용하여 효과를 보는 경우는 매우 한정되어 있다. 치료에 이용한다 하더라도 해독제 자체가 심각한 독작용을 유발하는 경우도 종종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해독제로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는 N-acetylcysteine(NAC)이다. NAC는 간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아세트아미노펜 과량 복용 환자에게 사용되는데, 아세트아미노펜의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독 물질을 무해화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NAC는 경구로 투여하거나 정맥주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초기 부하용량 투여 후 일정 시간 동안 지속 투여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NAC 투여 시 소화기 증상이나 과민반응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또한 유기인계 농약 중독 환자에게는 아트로핀과 PAM(pralidoxime)이 해독제로 사용된다. 아트로핀은 무스카린성 증상을 개선하고 중추신경계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PAM은 근육마비 등 니코틴성 증상을 역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들 해독제는 초기 부하용량 투여 후 지속 투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환자 상태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그 밖에 활성탄도 많은 독성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강해 해독제로 사용될 수 있다. 활성탄은 장관 내 독성물질 흡수를 막고 체내에 흡수된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다만 활성탄은 다른 약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므로 NAC 등의 해독제와 병용 시 투여 시간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약물 중독 환자 치료에서 해독제의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며, 해독제 자체의 독성 위험성으로 인해 환자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또한 해독제와 함께 다른 보조적 처치들도 병행하여 환자의 예후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1.3.3. 위 내용물 배출
구토를 유발하여 섭취된 독성 물질을 ...
참고 자료
양병근∙유제성∙주영선∙정성필∙이한식. Acetaminophen 중독에 의한 급성 간 부전 환자에서 Molecular Adsorbents Recirculating System®을 이용한 치험 1례. 대한임상독성학회지 2014:12(1):31~34
엄인경∙박종수∙한갑수∙조한진∙최성혁∙이성우∙홍윤식. 응급센터에서 시행하는 약물 선별 현장 검사의 유용성. 대한임상독성학회지 2011:9(1):26~29
이지연·길효욱·양종오·이은영·홍세용. 아세트아미노펜 중독에 의한 급성 신부전 1예. 대한내과학회지: 제 80권 제3호 2011
N-Acetyl cysteine and erdosteine treatment in acetaminophen-induced liver damage - Ayhan Saritas1, Hayati Kandis1, Davut Baltaci2, Umran Yildirim3, Halil Kaya4, Ali Karakus5, Serdar Colakoglu6, Ramazan Memisogullari7 and Ismail Hamdi Kara - Toxicology and Industrial Health 2014, Vol. 30(7) 670
Brok J, Buckley N, Gluud C. Interventions for paracetamol (acetaminophen) overdos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6; :CD003328.
Spiller HA, Winter ML, Klein-Schwartz W, Bangh SA. Efficacy of activated charcoal administered more than four hours after acetaminophen overdose. J Emerg Med 2006; 30:1.
Position paper: Ipecac syrup. J Toxicol Clin Toxicol 2004; 42:133.
Vale JA, Kulig K, American Academy of Clinical Toxicology, European Association of Poisons Centres and Clinical Toxicologists. Position paper: gastric lavage. J Toxicol Clin Toxicol 2004; 42:933.
Heard K, Rumack BH, Green JL, et al. A single-arm clinical trial of a 48-hour intravenous N-acetylcysteine protocol for treatment of acetaminophen poisoning. Clin Toxicol (Phila) 2014; 52:512.
Schwartz EA, Hayes BD, Sarmiento KF. Development of hepatic failure despite use of intravenous acetylcysteine after a massive ingestion of acetaminophen and diphenhydramine. Ann Emerg Med 2009; 54:421.
Wang GS, Monte A, Bagdure D, Heard K. Hepatic failure despite early acetylcysteine following large acetaminophendiphenhydramine overdose. Pediatrics 2011; 127:e1077.
Woodhead JL, Howell BA, Yang Y, et al. An analysis of Nacetylcysteine treatment for acetaminophen overdose using a systems model of drug-induced liver injury. J Pharmacol Exp Ther 2012; 342:529.
임상독성학, 김기운 외, 군자출판사, 2006
Practical Emergency medicine, 김기운, 군자출판사, 2001
Sheehy's 응급간호학, 성명숙 외, 군자출판사, 2008
성인간호학, 전시자 외, 현문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