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업 내 상사와 부하직원간의 의사소통에서의 문제점 및 성공사례
1.1. 서론
1.1.1. 조직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개념
조직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개념이다. 조직은 상호작용하는 개인들의 집합체이며, 의사소통은 이들 개인 간 정보와 의미를 공유하는 과정이다. 조직 내에서 관리자, 종업원, 동료들 간 정보 전달과 메시지, 관념, 태도를 공유하는 것이 의사소통의 핵심이다. 의사소통은 단순히 기술적인 면이 아닌, 보다 넓은 의미의 인간관계로 볼 수 있다. 의사소통은 조직 내 구성원들이 경영 목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동기부여의 수단이기도 하다.
1.1.2. 조직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기능
의사소통은 경영활동의 도구로서의 기능을 한다. 즉, 의사소통은 조직 속에서 구성원에 대한 경영자의 적절한 관리, 즉 지휘통솔의 수단이 되며, 구성원으로 하여금 경영목표에 자발적·의욕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동기유발의 수단이 된다. 일반적으로 조직 내 인적 구성은 최고 경영층, 중간 관리층, 일선 관리자 층으로 구분을 짓는다면 누가 경영활동의 주체가 되느냐는 상대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최근 추세는 의사소통이 각 구성원들이 주체로 나설 수 있는 요긴한 기능을 한다. 경영과 산업조직 관리자의 업무시간의 75%는 스스로를 의사소통하는 데에 소비되며, 남으로부터 의사전달을 받는 시간까지를 합치면 95%가 넘는다. 이러한 관리 운영의 도구로서의 구체적 기능은 구체적 과업지시 기능, 균형적 직무조정 기능, 조직절차 및 직무관련 교육기능, 업무수행 관련 피드백 기능, 직업 및 사명의식에 대한 고취기능이 있다.
또한 의사소통은 관계증진의 도구로서의 기능을 한다. 의사소통은 조직 구성원 개인간의 수평적 관계증진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수평적 관계증진의 기능으로는 동료 간 사회적·심적 지지 유대감의 증진기능, 업무적 인적 수평협조 기능, 조직 내 통제 점의 분산기능이 있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은 참여 및 접근의 도구로서의 기능을 한다. 조직내의 언로가 열리게 된다면 조직의 하위직급자가 자신의 업무에 관한 것은 물론이요, 기타 인간적인 재직조건에 대해서도 상급자와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