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치료적면담 기록지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 형성을 위해 다양한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대상자의 정신과적 증상과 문제를 파악하고 환경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간호학생 자신의 치료적 의사소통 수행 능력을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정신간호 실습에 대한 소감을 정리하였다.
1.2. 치료적 의사소통술 적용 사례
치료적 의사소통술은 정신간호 실습에서 매우 중요하다.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절히 활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공된 문서에는 실제 간호학생들이 대상자와 면담을 하며 적용한 치료적 의사소통술 사례들이 수록되어 있다.
먼저, 학생간호사와 대퇴골 골절 환자의 면담에서는 환자의 눈높이에 맞추고 적극적으로 경청하며 공감하는 태도를 보였다. 환자의 걱정을 반영하고 안심시켜 주는 등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환자가 흥미를 가질 만한 정보를 제공하여 대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다른 대퇴골 골절 환자와의 면담에서는 환자가 식사를 잘 하지 않는 이유를 개방적으로 질문하고 공감하는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환자의 요구를 신속히 수용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절히 사용하였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와의 면담에서는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조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조언과 이견을 피력하는 과정에서 다소 강압적인 언어를 사용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후에는 환자의 입장을 수용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등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였다.
또 다른 추간판 탈출증 환자와의 면담에서는 환자의 의문사항을 잘 경청하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감정을 수용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보여 치료적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허리디스크 환자와의 면담에서는 환자의 가족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표현하며 대화를 이어갔다. 또한 환자의 긍정적인 면모를 격려하고 지지함으로써 환자의 긍정적인 정서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른 허리디스크 환자와의 면담에서는 환자의 불안과 걱정을 경청하고 공감하였으며, 환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정보를 제공하여 불안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이처럼 학생간호사들은 면담 상황에서 다양한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하여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 형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물론 일부 면담에서는 비치료적 의사소통이 관찰되기도 하였지만, 대체로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절히 활용하여 대상자의 정서적 안녕과 회복에 기여하고자 하였다고 볼 수 있다.
2. 치료적 의사소통 분석
2.1. 언어적 의사소통 기법 분석
언어적 의사소통 기법 분석이다. 제공된 문서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