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글자이어말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게임을 통한 레저스포츠 이해
1.1. 몸 풀기 게임(이구동성 게임)
1.2. 본 게임 종류(네 글자 게임)
1.2.1. 준비물
1.2.2. 규칙
1.2.3. 진행내용
1.2.4. 느낀점(기대효과)
2. 자음과 모음을 활용한 말놀이 학습
2.1. 연결형 말놀이
2.2. 문답형 말놀이
2.3. 전달형 말놀이
3. 초등 국어 수업을 위한 말놀이 지도안
3.1. 자료의 개요
3.2. 자료의 구성
3.3. 적용 방안
3.4. 지도 시 유의점
3.5. 교수-학습 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게임을 통한 레저스포츠 이해
1.1. 몸 풀기 게임(이구동성 게임)
이구동성 게임은 선택할 수 있는 제시어를 2개를 제공하고 그를 동시에 선택하여 말해야 하는 게임이다. 예를 들면 문제 내는 사람이 "산과 바다"라는 제시어를 내고 맞추는 사람들이 "산"과 "바다" 중에서 같은 것을 말하는 게임이다. 보통은 커플로 이루어진 2명이 할 수 있고 4명이나 그 이상도 함께할 수 있는 게임이다. 이구동성 게임은 사실 이러한 같은 단어를 선택해야 하는 게임이기도 하지만 커플의 일상에서의 얼마나 선호도나 성향이 비슷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재미로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구동성 게임을 몸을 풀기 게임으로 하고 본경기로 네 글자 퀴즈를 하는 것이다.
1.2. 본 게임 종류(네 글자 게임)
1.2.1. 준비물
본 게임 종류(네 글자 게임)의 준비물은 별도로 필요한 것이 없다. 4글자 게임에 있어서 주제를 필요로 한다면 교과서 등의 책이 필요할 수 있겠지만, 그 외에 특별히 준비할 것은 없다. 단, 모둠별로 게임을 할 만한 인원이 필요하다.
1.2.2. 규칙
규칙은 다음과 같다""
① 각 모둠에서 4글자에 해당하는 단어를 의논하며 적는다. 앞 두 글자 뒤에 말이 되는 두 글자는 모두 정답으로 인정한다. 따라서 희귀한 단어를 내는 것이 우리 팀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국어" - "사전" : 정답, "국어" - "시간" : 정답이 된다.
② 우리 모둠에서 한 명이 문제를 외치면, 그다음 문제를 맞히는 모둠에서 뒤의 두 글자를 맞히면 된다.
③ 같은 개수의 문제를 내 가장 많이 맞힌 모둠이 승리한다.
1.2.3. 진행내용
가. 활동 1 - 각 모둠에서 문제 만들기
① 각 모둠에서 4글자에 해당하는 단어를 적는다. 교과서를 보며 괜찮은 단어를 적는다.
② 교사가 제시한 단어 개수만큼 다 적은 모둠은 교사의 검토를 받는다.
나. 활동 2 - 네 글자 퀴즈 맞히기
① 모둠별로 공격과 수비 하는 모둠 순서를 정한다.
② 각 모둠 안에서 대답하는 순서를 정한다.
③ 수비 하는 모둠은 일렬로 정렬하고, 공격하는 모둠은 1명이 대표로 나와서 공격한다.
④ 공격하는 모둠 친구가 두 글자를 말하면 그다음 친구가 답한다.
ex) `갑오` -> `개혁`
⑤ 맞추면 1점을 얻고 다음 ...
참고 자료
라서가. "게임 캐릭터 컨셉 디자인 연구.-<신서유기>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f Conceptual Design of Game Roles - Around the -국내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2012. 서울
임설이. "『서유기』를 소재로 한 한·중 예능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