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경동맥협착증은 뇌혈관의 주요 혈관인 경동맥이 좁아지는 질병이다. 경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뇌로 공급하는 중요한 혈관으로, 경동맥의 협착은 뇌로 가는 혈액량을 감소시켜 뇌허혈과 뇌경색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는 뇌졸중의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주요 질병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경동맥협착증의 진단과 치료, 간호에 대한 이해는 뇌졸중의 예방과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경동맥협착증의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등을 체계적으로 탐구하여 환자의 회복과 예방을 돕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 된다. 경동맥협착증은 죽상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 흡연 등의 위험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무증상에서부터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혈관조영술, 초음파, MRI 등의 영상검사로 이루어지며, 치료로는 약물요법과 함께 수술적 치료인 경동맥내막절제술 및 스텐트 삽입술이 시행된다. 간호에서는 수술 전후 환자 관찰과 감시, 합병증 예방, 교육 등이 중요하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중재를 통해 경동맥협착증 환자의 회복과 예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1.2. 경동맥협착증의 정의 및 중요성
경동맥이란 심장에서 나온 대동맥과 뇌혈관을 잇는 혈관으로, 뇌로 가는 혈액의 80%를 공급하는 중요한 혈관이다. 경동맥협착증은 경동맥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질환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경동맥 협착증이 있는 성인은 약 5.5%로 보고되며, 특히 60대에 심각한 경동맥 협착증으로 수술받는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경동맥은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으로 나뉘는데, 외경동맥은 비교적 혈액공급이 원활하나 내경동맥은 좁아지거나 막히면 뇌로 가는 혈액공급이 감소할 수 있다. 이처럼 내경동맥을 포함한 경동맥이 좁아지는 경우를 경동맥협착증이라 한다. 경동맥협착증은 혈류를 감소시키거나 혈관을 막게 되어 허혈성 뇌졸중의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경동맥협착증은 뇌기능 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질환으로, 신경외과 영역에서 중요한 질환 중 하나이다.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경동맥이란 심장에서 나온 대동맥과 뇌혈관을 잇는 주된 혈관으로 목의 좌우에 있으며 총경동맥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내경동맥과 두피와 얼굴에 혈액을 공급하는 외경동맥으로 나뉘어진다. 외경동맥은 좁아지거나 막히더라도 다른 혈관을 통해서 비교적 풍부하게 혈액이 공급되어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내경동맥은 좁아지거나 막히면 뇌에 혈액공급이 감소할 수 있으며, 내경동맥 벽에 침착되어 있는 지방 조직들이 떨어져 나와 뇌혈관의 말단 부위로 흘러가 혈관을 막을 수도 있다. 이처럼 내경동맥을 포함한 경동맥이 좁아지는 경우를 경동맥 협착증이라 지칭한다. 경동맥 협착증은 혈류를 감소시키거나 혈관을 막게 되어 허혈성 뇌졸중의 원인이 된다.
2.2. 질병의 원인 및 병태생리
경동맥협착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
경동맥 협착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죽상동맥경화증이다. 혈관벽이 고지혈, 흡연 물질 또는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되면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염증 반응으로 인해 혈관벽 내부에 지방과 각종 염증세포 및 물질들이 침착하게 되고, 근육세포들이 혈관 벽에 모여 증식하게 되어 결국 혈관이 좁아지게 된다. 마치 파이프 내에 이물질이 끼어 좁아지게 되면 물 공급이 잘 안 되는 것처럼, 혈관 내경이 좁아져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줄게 되고 뇌 기능이 일시적으로 떨어지거나, 심하면 아예 뇌세포가 죽게 되어 뇌경색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성인병, 스트레스, 특히 흡연 등과 깊은 관련이 있다. 혈관벽을 막고 있는 염증 물질들(주로 지방성분들)은 죽처럼 찐득찐득한 상태로 붙어 있는데, 간혹 떨어져 나가 혈액을 타고 뇌혈관의 말단 부위로 이동하여 혈관을 막게 된다. 이것을 색전이라고 하며, 곧 뚫리기도 하지만 일정 시간 이상 막게 되면 그 혈관을 통해 혈액 공급이 안 되면서 뇌세포가 죽게 되어 뇌경색이 발생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