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욕창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욕창의 정의와 특성
1.2. 욕창 발생의 위험요인
1.3. 욕창 관리의 필요성
2. 욕창 단계와 평가
2.1. 욕창 단계 구분
2.2. 욕창 상태 평가
2.3. 욕창 위험도 사정(Braden scale)
3. 욕창 예방 및 관리
3.1. 피부 및 영양 관리
3.2. 체위 변경과 지지면 사용
3.3. 환자 및 보호자 교육
4. 단계별 욕창 드레싱 관리
4.1. 1단계 욕창 드레싱
4.2. 2단계 욕창 드레싱
4.3. 3-4단계 욕창 드레싱
4.4. 심부조직 손상 의심 욕창 드레싱
5. 결론
5.1. 욕창 관리의 중요성
5.2. 체계적인 욕창 예방 및 관리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욕창의 정의와 특성
욕창이란 신체의 일정한 부위(주로 뼈 돌출부)에 압력이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가해짐으로써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인한 허혈성 조직괴사로 생기는 피부나 하부 조직의 손상상태이다. 처음에는 피부가 벗겨지는 정도의 조그만 상처로 시작되지만 금방 깊숙하게 썩어 들어가는 상처로 진행하게 되며, 심하면 뼈가 노출되고 조직 괴사가 퍼져가는 지경에까지 이른다. 이때 압박이 없는데도 계속 붉은 피부가 보이며 갈라지고 물집이 생기고 벗겨지며 피부가 튼다. 또한 피부표면 또는 더 깊숙이 침윤된 개방성 상처가 생기며 압박된 부위의 통증이 발생한다.
1.2. 욕창 발생의 위험요인
욕창 발생의 위험요인이다. 압력은 욕창 발생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압력이 강할수록, 지속될수록 욕창 발생 가능성이 높다. 또한 압력에 대한 피부 방어능력은 건강상태, 피부상태, 신경계 장애 등에 따라 달라진다. 낮은 압력이라도 장시간 지속되면 높은 압력에 단시간 노출되는 것보다 더 심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비틀림력 또한 욕창 발생의 원인이 된다. 피부와 뼈 부위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비틀림력으로 인해 혈관이 꼬이거나 터져 욕창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찰력 또한 욕창 발생 위험요인이다. 피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 인해 피부 표피층이 벗겨지고 감염,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피부 습기도 욕창 발생 위험요인이다. 피부가 지속적으로 습한 상태이거나 실금으로 인해 회음부, 항문주위가 습해지면 피부손상과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신경손상도 욕창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신경손상이 있는 혈관은 정상 혈관보다 압력에 취약하다.
체온 상승도 욕창 발생 위험요인이다. 체온이 1도 오르면 조직의 대사요구와 산소요구량이 10% 증가하여 압력에 취약해진다.
영양상태 불량도 욕창 발생 위험을 높인다. 영양부족 시 세포로의 산소공급이 감소하고 압력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한다. 특히 빈혈, 단백질·비타민·미네랄 결핍 시 욕창 발생 가능성이 높다.
1.3. 욕창 관리의 필요성
욕창은 병원에서 단기적, 장기적으로 입원하는 환자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병이다. 욕창 발생 시 통증, 불편감과 더불어 장기 입원의 문제가 동반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30~50%에서 욕창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영미권 해외의 경우에도 12~17%의 비교적 낮은 욕창 발생률이 보고되고 있다. 중환자들은 일반 환자에 비해 의식 수준과 감각 지각능력 저하, 부동, 부종, 장기간의 호흡기치료뿐만 아니라 영양상태의 불균형 등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욕창 발생률이 높다. 따라서 욕창에 대한 상세한 이해와 발생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체계적인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다.
2. 욕창 단계와 평가
2.1. 욕창 단계 구분
욕창은 크게 6단계로 구분된다. 제1단계는 비창백성 홍반(non-blanchable erythema)이 있는 상태이며 피부 손상이 없다. 제2단계는 부분적인 피부상실과 표재성 궤양이 있는 상태로 피부층의 일부가 손상된 것이다. 제3단계는 피하조직이 관찰되며 광범위한 손상이 있는 상태이다. 제4단계는 근육이나 건, 뼈 등이 노출되는 심각한 손상 상태이다. 심부조직 손상 의심 단계는 피부손상은 없으나 보라색이나 적갈색의 부분적 피부 변색 또는 혈액이 찬 수포가 있는 상태로 개방상처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미분류 단계는 상처 기저부가 괴사조직으로 덮혀 있어 조직의 손상정도를 알 수 없는 상태이다.
2.2. 욕창 상태 평가
욕창 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욕창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
참고 자료
[수문사] 기본간호학 Ⅰ -개정판- (전미양 외)
병원간호사회 www.khna.or.kr (사진 자료)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 (사진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www.hira.or.kr 욕창발생 감소를 위한 적용방안 (2013)
양영희, 김원숙, 1988; 이종경, 2003; Akbari Arab, Rashidian, & Golestan, 2010.
한국어판 욕창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 측정도구(PUPT-KP)의 타당도와 신뢰도 (강희경, 2014)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홈페이지 : https://www.snubh.org/dh/bcd8 (사진 자료)
경기도청. https://www.gg.go.kr/archives/3125045
KMUG https://kmug.co.kr/bbs/board.php?bo_table=design&wr_id=2936978
상처 시각화 사전, 병원상처장루실금간호사회, KOONJA PRESS
그림으로 보는 상처관리, 박경희, 군자출판사
노인간호학, 한국노인간호학회, 현문사
기본간호학, 송경애 외, 수문사, 2019
성인간호학(하), 신경림 외, 현문사, 2019
박경희외 5인(2019). 욕창간호실무지침개정
kops 환자안전보고 시스템(2021)
병원상처장루실금간호사회.요양병원 욕창관리 실무지침 개발(2015)
병원간호사회.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2018)
병원상처장루실금간호사회.임상상처관리정석(2020)
병원상처장루실금간호사회.상처시각화사전(2017)
군자출판사.그림으로 보는 상처 관리(2010)
대한간호협회.환자안전관리6;환자안전 간호의 실제(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