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한식이란?
한식이란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나 식사이다. 사전적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나 식사'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한국 사람들이 과거부터 내려온 조리법을 활용하여 조리한 음식으로 '전통음식 및 식품' 또는 '향토음식'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한식의 정의나 범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되는 식재료, 조리법, 민족 등이 한식을 다른 음식과 구분 짓는 핵심 요소이다. 한식과 관련해서는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이라는 용어도 많이 사용되는데, 전통음식은 제3세대, 즉 100년 이상 먹어온 음식을, 향토음식은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 식재료와 지역의 기후, 풍토에 적합한 조리법으로 만든 음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식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음식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된 산업화 가능한 음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2. 한식의 세계화란?
한식세계화는 우리 음식을 세계인이 즐기는 문화로 만드는 것이다. 건강에 좋은 웰빙식이면서도 풍류와 멋이 넘치는 우리 한식은 친환경 녹색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와 세계인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밥상으로 가장 적합하다. 한식은 건강과 웰빙을 지향하는 음식으로 세계 식품소비의 트렌드에 부합하는 만큼 세계인이 함께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다. 한식의 영양학적 특성과 유구한 역사를 지닌 우리 음식문화를 접목하여 한식을 세계적인 문화상품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이 한식의 세계화이다. 서울을 기점으로 도쿄, 베이징 등 반경 2,000km 내에 거대한 식품시장들이 존재하며 이 지역에는 11개 주요도시가 산재해 있고 약 15억 인구가 살고 있는 등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한류를 바탕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김치, 불고기, 비빔밥 등 한식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는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1.3. 한식 세계화의 필요성
세계 식품시장은 정보통신, 자동차, 철강산업보다 규모가 크고 성장가능성이 아주 높은 중요 산업 중 하나이다. 한식은 건강과 웰빙을 지향하는 음식으로 세계 식품소비의 트렌드에 부합하는 만큼 세계인이 함께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다. 한식의 이러한 영양학적 특성과 유구한 역사를 지닌 우리 음식문화를 접목하여 한식을 세계적인 문화상품으로 발전시키려는 것이다. 최근 한류를 바탕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한식의 우수성이 국내외 언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