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욕창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욕창 관리
1.1. 욕창의 정의와 이해
1.2. 욕창 발생 위험요인
1.3. 욕창 단계별 특징
1.4. 욕창 발생 부위
2. 욕창 예방 및 관리
2.1. 욕창 사정 및 기록
2.2. 욕창 예방 활동
2.2.1. 피부 및 실금 관리
2.2.2. 영양 관리
2.2.3. 지지면 관리
2.2.4. 자세 변경
2.2.5. 교육
2.3. 욕창 관리
2.3.1. 상처 세척
2.3.2. 드레싱 종류 및 선택
3. 단계별 욕창 드레싱 선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욕창 관리
1.1. 욕창의 정의와 이해
욕창이란 신체의 일정한 부위(주로 뼈 돌출부)에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모세혈관의 순환장애로 인한 허혈성 조직괴사로 생기는 피부나 하부 조직의 손상상태이다. 압박이 없는데도 계속 붉은 피부가 보이며 갈라지고 물집이 생기고 벗겨지며 피부가 튼다. 또한 피부표면 또는 더 깊숙이 침윤된 개방성 상처가 생기며 압박된 부위의 통증이 생긴다. 처음에는 피부가 벗겨지는 정도의 조그만 상처로 시작되지만 금방 깊숙하게 썩어 들어가는 상처로 진행하게 되고, 심하면 뼈가 노출되고 조직 괴사가 퍼져가는 지경에까지 이른다.
1.2. 욕창 발생 위험요인
욕창 발생 위험요인은 복합적이며 다양하다. 욕창 발생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압력이다. 압력이 강할수록, 지속되는 시간이 길수록 욕창이 잘 발생한다. 신체의 건강상태, 피부 상태, 신경계 장애 등이 압력에 대한 피부의 방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낮은 압력이라도 장시간 지속될 경우 높은 압력을 단시간 지속한 경우보다 더 심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비틀림력 또한 욕창 발생의 중요한 요인이다. 피부와 뼈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때 혈관이 꼬이거나 터져 발생할 수 있다. 마찰력 또한 피부의 표피층을 벗겨내고 감염,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
피부의 습기 상태도 욕창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피부가 지속적으로 습한 상태이거나 실금이 있는 경우 피부 손상과 감염의 위험이 높아진다. 신경 손상으로 인한 혈관 기능저하, 체온 상승, 영양 상태 불량 역시 욕창 발생 위험을 높인다.
따라서 욕창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압력, 비틀림력, 마찰력, 피부 습기, 신경 손상, 체온, 영양 상태 등 다양한 위험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입원 환자의 경우 주기적인 피부 상태 평가와 함께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예방 활동이 필요하다.
1.3. 욕창 단계별 특징
제1기 욕창은 피부 손상이 없는 상태로, 압력을 제거한 후에도 피부가 붉은색을 띠며 따뜻하고 단단한 상태이다. 보습제와 피부 보호 크림으로 관리가 가능하며, 평균적으로 1~7일 정도의 치료 관리가 필요하다.
제2기 욕창은 피부 손상이 있는 상태로, 물집(수포), 찰과상, 통증이 있으며 부종이 발견된다. 피부가 파열되어 찰과상과 물집 등이 관찰되며, 피부의 지방층까지 침범하면 통증을 호소할 수 있다. 드레싱 제제를 사용하여 1~2주 동안 치료하며, 손상이 심하면 5~90일간 집중 치료가 필요하다.
제3기 욕창은 피부 손상이 심한 상태로, 악취, 진물, 고름, 부종이 심하고 괴사가 발견된다. 피하지방까지 괴사가 일어나 악취를 동반한 삼출물이 나타나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고 회복에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
제4기 욕창은 피부 손상이 매우 심한 상태로, 근육, 뼈, 인대, 관절 등의 광범위한 괴사가 발견된다. 수술적 치료(피부이식, 피판술 등)가 필요하며, 회복에 약 180일~1년까지 치료와 관리가 필요...
참고 자료
[수문사] 기본간호학 Ⅰ -개정판- (전미양 외)
병원간호사회 www.khna.or.kr (사진 자료)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 (사진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www.hira.or.kr 욕창발생 감소를 위한 적용방안 (2013)
양영희, 김원숙, 1988; 이종경, 2003; Akbari Arab, Rashidian, & Golestan, 2010.
한국어판 욕창 예방 및 치료에 관한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 측정도구(PUPT-KP)의 타당도와 신뢰도 (강희경, 2014)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홈페이지 : https://www.snubh.org/dh/bcd8 (사진 자료)
경기도청. https://www.gg.go.kr/archives/3125045
KMUG https://kmug.co.kr/bbs/board.php?bo_table=design&wr_id=2936978
상처 시각화 사전, 병원상처장루실금간호사회, KOONJA PRESS
그림으로 보는 상처관리, 박경희, 군자출판사
노인간호학, 한국노인간호학회, 현문사
기본간호학, 송경애 외, 수문사, 2019
성인간호학(하), 신경림 외, 현문사, 2019
박경희외 5인(2019). 욕창간호실무지침개정
kops 환자안전보고 시스템(2021)
병원상처장루실금간호사회.요양병원 욕창관리 실무지침 개발(2015)
병원간호사회.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2018)
병원상처장루실금간호사회.임상상처관리정석(2020)
병원상처장루실금간호사회.상처시각화사전(2017)
군자출판사.그림으로 보는 상처 관리(2010)
대한간호협회.환자안전관리6;환자안전 간호의 실제(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