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환경 관리와 감염 관리는 의료기관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병원 환경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환자와 직원의 안전을 보장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것은 병원의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병원 내 환경 관리와 감염 관리를 위한 여러 지침과 점검표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부서별 환경 소독 관리와 격리 환자 관리 등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최신 연구 동향과 사례를 통해 병원 환경 관리와 감염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대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환경관리 일반 지침
청소 및 소독은 깨끗한 곳에서 더러운 곳, 높은 곳에서 낮은 곳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소독제를 이용한 분무 소독은 공기나 표면의 소독에 적합하지 않고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하지 않는다. 청소 및 소독시 혈액, 체액, 땀을 제외한 분비물이나 배설물에 노출되는 상황에서는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오염된 청소용구는 바로 교환 및 소독해야 한다.
모든 소독제는 개봉 시 [개봉일/폐기일]을 기입해야 하며, 제품의 유통기간이 개봉 후 유효기간 보다 임박한 경우 유통기간을 폐기일로 표기해야 한다. 용기의 뚜껑은 반드시 닫아서 보관해야 하며, 모든 액체 소독제의 분무사용은 금지된다. 원액 취급 시 마스크, 장갑(고무장갑), 앞치마, 보안경 등의 개인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락스는 찬물에 희석해야 하고, 소독제 희석 사용 시 희석 비율을 준수하며 희석 일시를 기입하고 유효기간을 준수해야 한다. 소독제는 1일 사용량만 희석하여 사용하며 매일교환(24시간)해야 한다.
3. 환경소독 점검 체크리스트
3.1.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인공신장실 등 부서용
병실 침대의 side rail, 조절 버튼·손잡이, 머리 표면, 매트리스, 테이블 등을 매일 1회 소독제(400배 애니오설프 프리미엄 또는 100배 희석 락스)로 소독한다. 침상 상두대 표면·서랍장 손잡이, 보호자 침대, 병실 전등 스위치, 병실문 손잡이, 병실 바닥, 세면대 및 수도 꼭지, 전화기, 냉장고 등도 매일 1회 소독한다.
커튼은 격리 병실의 경우 환자 퇴실 시 교체한다. 화장실 출입문 손잡이(안팎), 전등 스위치, 보조 손잡이, 샤워 핸들, 개수대 수도꼭지, 변기 손잡이, 물 내리는 버튼, 변기 좌판 등도 매일 1회 소독한다.
모니터 기계, IV 폴대, 수액 조절 펌프, 흡인기 및 흡인병, 산소 습윤기 등의 표면도 매일 1회 소독한다. 이외에도 환자가 사용하는 의료기구의 표면을 매일 소독한다.
이와 같이 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인공신장실 등의 부서에서는 접촉빈도가 높은 표면과 환자가 사용하는 의료기구의 표면을 매일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한다. 또한 화장실, 바닥 등 일상적인 환경 표면은 월 1회 소독한다.
3.2. 외래, 검사실 부서용
외래와 검사실 부서의 환경소독 점검 항목은 매일, 주간, 월간으로 나뉘어 관리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