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질향상활동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관리: 질 향상 활동방법
1.1. 질관리 개념
1.2. 질 보장(QA)과 총체적 질관리(TQM)
1.3. 질 향상 활동과정
1.4. 질 향상 활동방법
1.4.1. PDCA
1.4.2. 6-δ(시그마)
1.4.3. 균형 성과표(BSC)에 의한 접근
1.4.4. 서비스 품질 갭 모형에 의한 접근
1.4.5. Lean(린) 질관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질관리: 질 향상 활동방법
1.1. 질관리 개념
의료의 질은 진료의 모든 과정에서 자원투입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환자의 건강과 만족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상태이다. 질관리는 병원의 핵심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며, 문제해결에 대한 시스템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환자의 기대수준을 파악하고 충족시킬 수 있으며, 진료 및 경영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의 재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의료서비스 공급 측면에서 제한된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환자 진료행위가 평가영역에 포함되어야 한다.
의료의 질 구성요소는 효과성, 효율성, 기술수준, 접근성, 가용성, 적정성, 합법성, 지속성, 형평성, 수용성, 적합성, 이용자 만족도 등을 포함한다. 질관리를 위해서는 조직이 클수록 많은 공식적 통제체계가 요구되며, 통제의 특별한 형태인 질관리는 환자에게 전달되는 서비스를 조절하고, 감시하고, 평가하는 데 이용된다.
1.2. 질 보장(QA)과 총체적 질관리(TQM)
질 보장(QA)은 표준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노력이나 능력이다. 간호의 질 보장은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의 효율성과 질을 평가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체계적인 과정이다. 우수한 표준과 기준을 설정하고 비교 평가한 후 평가 결과를 근거로 개선, 계획 및 추후 관리함으로써 간호의 질을 보장한다.
총체적 질관리(TQM)는 기존에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지속적인 질 향상을 추구하는 기법이다. TQM의 특징은 계획-시행-점검-실행의 순환관리 기법에 기초한 끝이 없는 과정이며, 모든 문제는 예방적, 전향적으로 접근하여 위기관리가 불필요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 질관리(QA)가 임상의료의 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했다면, TQM은 모든 체계와 과정, 임상과 비임상을 포함한 조직 전반의 질 향상을 추구한다. QA가 문제해결에 초점을 두었다면 TQM은 지속적인 질 향상에 중점을 둔다. QA가 전문의료인에 의해 설정된 기준과 표준을 따랐다면 TQM은 고객과 전문의료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기준을 추구한다. 또한 QA가 QA 위원회와 담당자 중심이었다면 TQM은 전체 조직구성원의 참여를 강조한다.
1.3. 질 향상 활동과정
문제발견 단계에서는 질 향상 활동을 수행할 팀의 조직(QI팀), 대상자와 사업범위 및 대상자의 요구를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 문제가 규명되면 일차적인 자료수집을 통해 가장 중요한 문제를 찾는 우선순위 결정 단계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문제의 원인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문제를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진단하는 문제분석 단계가 진행된다.
질관리 연구(자료분석) 단계에서는 적절한 개선...
참고 자료
간호관리학 수문사(개정7판) 605~614폐지
간호관리학, 에듀팩토리, 2020년 발행, p306~309
염영희, 고명숙, 김기경 외(2017), 개정 6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수문사
변창자, 강익화, 고명숙 외(2002), 간호관리학 총론, 수문사
김인숙 외 최신간호관리학(2011), 현문사
김이영,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포츠 이벤트 참여 동기와 참여만족도, 『전북대학교』, 2004.
신종근, “성인의 택견 참여동기와 여가만족도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2010. 신희경 외3명(2009), 『교육심리학』, pp282~292.
이진우, “마스터즈 수영대회 참가자들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2005.
최병열,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2007.
한덕운(2006), 『인간의 동기심리』, p.235.
Atkinson, J. W, “A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966.
Heider,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NY: Willey』, 1958.
McCelland, D. C, “The Achievement Motive”, 『New York: Appletion-Crofts』, 1953.
McCelland, D. C, “The Achieving society”, 『American Psychologist』, 1962.
Iso-Ahloa, S. E, “The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C.Brown company Publishers』, 1980.
Smith. E. E, “The effects of social and monetary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Cornell University』, 1974. Weiner, “Theories of motivation: From mechanism to cognition”, 『Chicago: Markham』,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