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생아 선천성기형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선천성 기형의 중요성
1.2. 선천성 기형의 발생률과 특성
1.3. 선천성 거대결장의 정의
2. 본론
2.1. 선천성 거대결장의 병태생리 및 원인
2.2. 선천성 거대결장의 임상증상
2.3. 선천성 거대결장의 진단
2.4. 선천성 거대결장의 치료적 관리
2.5. 선천성 거대결장의 간호중재
2.5.1. 수술 전 간호
2.5.2. 수술 후 간호
3. 결론
3.1. 선천성 거대결장 간호의 중요성
3.2. 선천성 거대결장 간호를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선천성 기형의 중요성
선천성 기형은 신생아의 건강과 생존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 선천성 기형은 출생 직후부터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하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선천성 거대결장과 같은 특정 기형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적절한 시기에 발견하여 관리하지 않으면 장폐색, 패혈증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져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선천성 기형은 신생아의 성장과 발달에 지장을 초래하여 장기적으로도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선천성 기형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 간호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선천성 기형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의료진과 보건 당국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1.2. 선천성 기형의 발생률과 특성
우리나라의 출생아 중 선천성 거대결장을 앓는 비율은 출생아 5,000명당 한 명이다. 남아와 여아의 비율은 약 4대 1 정도이다. 선천성 거대결장은 전체 신생아 장폐색의 20~25%를 차지하며, 다운증후군 환아의 5%에서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질병은 흔히 독립적인 출생 시 기형이지만 다운증후군과 같은 다른 증후군과 연관되기도 한다. 선천성 거대결장은 진단이 늦어지게 되면 장폐쇄로 인한 패혈증으로 사망하거나 장이 터져서 복막염이 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을 갖고 있다. 또한 다른 장 폐쇄증과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1.3. 선천성 거대결장의 정의
선천성 거대결장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선천성 거대결장증(Hirschsprung disease [HD], congenital agunglionic megacolon)은 장 일부분이 부적절한 운동성으로 기계적인 폐쇄를 초래하는 선천성 기형이다. 모든 신생아 장폐색의 1/4정도에 해당되며, 이 질병은 영아 후기나 그 이후에는 진단되지 않는다. 발생빈도는 생존 신생아 5,000명 중 1명이고, 남아보다 여아보다 4배가 많으며 일부 가족적 소인이 있다. 선천성 거대결장 아동에게 RET 프로토종양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2. 본론
2.1. 선천성 거대결장의 병태생리 및 원인
선천성 거대결장의 병태생리 및 원인은 다음과 같다.
선천성 거대결장증은 장 일부분의 신경절이 없는 것이 원인이다. 그 결과, 직장괄약근 반사가 소실되고 영향받은 장에 비정상적인 세포가 발생하게 된다. 선천성 무신경절 거대결장이란 아우어바흐신경얼기(Auerbach's plexus)와 마이스너 점막하 신경얼기(Meissner plexus)부위에 신경절 세포가 없는 선천성 기형...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다지증”
Jane W. Ball,Ruth C. Bindler,Kay J. Cowen,Michele R. Shaw(2021),『아동간호학』,
학지사메디컬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다지증”
호산여성병원 신생아 주요검사 팜플렛
이은희 외(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베이비뉴스, 모유수유 산모라면 알아둬야 할 유방 마사지, 2015.07.30.
예산군 보건소, ‘모유사랑’
박영주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 II 제5판」, 현문사, 2020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II 제9판」, 수문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