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교육개론 외국인 학습자 오류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외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및 범위
2.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유형
2.1. 어휘 오류
2.1.1. 언어 간 전이로 인한 오류
2.1.2. 언어 내 전이로 인한 오류
2.2. 발음 오류
2.2.1. 모국어의 간섭으로 인한 오류
2.2.2. 한국어 음운 체계의 특성으로 인한 오류
2.3. 문법 오류
2.3.1. 조사 사용의 오류
2.3.2. 높임법 사용의 오류
3. 외국인 학습자 오류 분석의 시사점
3.1. 오류 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 개선
3.2. 학습자 수준별 맞춤형 교육 방안 모색
3.3. 언어권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 자료 개발
4. 결론
4.1. 연구 결과 요약
4.2. 외국인 학습자 오류 관리의 중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외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의 필요성
외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오류는 언어 습득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며, 이를 분석하고 파악하는 것은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고 학습자의 성취도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오류 분석을 통해 교사는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적절한 피드백과 교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류의 유형과 원인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더불어 언어권별 오류 양상을 분석하면 해당 언어권 학습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외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은 효과적인 외국어 교육을 실현하는데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2. 연구 목적 및 범위
외국어 학습자의 오류를 분석하는 것은 해당 언어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범하는 다양한 오류 유형을 파악하고,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어휘, 발음, 문법 등 한국어 학습 시 자주 나타나는 오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 목표어 지식의 부족 등 오류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수준별 맞춤형 교육 방안과 언어권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 자료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제기되는 외국인 학습자의 대표적인 오류 유형에 중점을 두며,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2.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유형
2.1. 어휘 오류
2.1.1. 언어 간 전이로 인한 오류
외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는 학습자가 모국어의 문법, 어휘, 발음 체계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이를 목표어인 한국어에 그대로 전이시키는 양상이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중국어에는 한국어의 주격조사 '이/가'에 해당하는 조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국어 학습자들은 문장에서 주격조사를 생략하거나 잘못 사용하는 오류를 범한다. 예를 들어 "바다와 강과 도시와 산, 그리고 사막이 어디에 있는지 안다."와 같은 문장에서 주어를 나타내는 '이/가'가 생략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일본어는 명사 중심의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어는 동사 중심의 문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일본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문장을 구성할 때 어색한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비의 날'과 같은 명사절을 사용하는 대신 '비가 오는 날'과 같은 동사 중심의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
베트남어 학습자의 경우, 모국어에서는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내는 시제를 동사 앞에 붙여 표현하지만, 한국어에서는 별도의 시제 조사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베트남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문장을 구성할 때 시제 표현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처럼 모국어의 언어적 특성이 한국어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 오류를 면밀히 관찰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2.1.2. 언어 내 전이로 인한 오류
외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목표어인 한국어 내부의 요소들 간의 유사성이나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하여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목표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먼저 어휘 사용의 경우, 학습자들이 유의어, 상하의어 등을 혼동하여 적절하지 않은 단어를 사용하는 오류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내일 볼링을 하고 싶어요'라고 말하는데, 정확한 표현은 '내일 볼링을 치고 싶어요'이다. 또한 '네, 조금 바쁘겠어요'라고 말하는 것 보다는 '네, 조금 바쁠 거예요'가 더 적절하다. 이처럼 유의어나 상하의어를 구별하지 못하여 부적절한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철자 사용에서도 오류가 나타난다. 학습자들이 단어의 정확한 철자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 선물을 바닸어요'라고 말하는 것 보다는 '크리스마스 선물을 받았어요'가 맞는 표현이다. 또한 '아프로 일하기로 하면 좋겠어요'라고 말하는 것 보다는 '앞으로 일하기로 하면 좋겠어요'가...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 배론원격평생교육원.4강 외국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의 습득 이론 – 제2언어 습득론의 기본 개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 배론원격평생교육원.4강 외국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의 습득 이론 – 중간 언어의 이론과 학습자 요인
위키백과 참고
노채환 ( Roh Chaehwan )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범 류(2009),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학위논문. 『이중언어학』 제40호학 미(2006), 한국어와 중국어의 단모음 비교연구-실험음성학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 림(201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중모음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발음오류 중심으로- 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권영미(2008), 중국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발음 지도 방안 연구. 청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이 원(2010),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의 오류 양상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인천대 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학위논문
도서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 이정희
김길동,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발음 교육연구”, 2008.
김지연, “중국인 학습자의 자연발화 발음 오류 분석 연구”, 2010.
로금송,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교육”, 동아대학교 석사논문, 2000.
유춘희, “한국어 음절발음교육에 대하여”, 연변대하교 한국어교육론 문집, 2006.
이 향,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발음교재 개발 방안”, 2002.
최김단, “중국어권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발음 교육”, 2002.
최수영,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실태와 한중 음운대조”, 2009.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비교 http://wkgks.tistory.com/38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조철현.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 문화관광부, 2002.
네이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연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57869&cid=46674&categoryId=46674
법률사무소’, 한국어가 가장 어려운 이유,https://blog.naver.com/onemindlaw/221822208676
세계일보, 한국어 배우는 외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단어는(2021.06.10.),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589382?sid=103
MBC PLUS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www.mbcplus.com/web/program/contentList.do?programInfoSeq=62
강남욱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개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신규수 (2014), 제2언어 습득, 한국문화사
임병빈 외(2009), 외국어 어떻게 배우고 가르칠 것인가, 이퍼블릭
강남욱, 이슬비, 한국어 교사의 학습자 오류 평가에 대한 연구
김성훈,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분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