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만성 편도염의 정의
편도는 구인두와 비인두에 있는 림프선(림프절) 상피 조직이다. 병원체 침입 시 병원체를 여과하여 호흡기와 소화관을 보호하고 항체 형성을 한다. 흔히 편도가 부었다고 하면 목젖 양쪽의 편도를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부위에 있는 편도는 편도 조직 중 하나인 구개편도이다. 입안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구개편도 외에도 비인두에 있는 아데노이드라는 인두편도와 혀뿌리에 있는 설편도가 있는데, 이 편도들은 입안에서 보이지 않는다. 반복적인 상기도 감염이나 다른 전신 질환과 관련된 증상 혹은 특별한 이유가 없이 편도가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져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편도 비대라고 한다.
1.2. 만성 편도염의 발생 원인
만성 편도염의 발생 원인은 다양하다. 우선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편도선이 반복적으로 염증을 일으키면 만성 편도염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B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의 세균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이 만성 편도염의 주요 원인균이다. 이러한 병원체들이 편도선 내부로 침입하면 편도선이 부종되고 염증이 지속되면서 만성 편도염이 발생한다.
또한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이러한 병원체에 감염되면 편도선의 저항력이 떨어져 만성 편도염이 발생할 수 있다. 과로, 과음, 과식 등의 생활습관 요인과 기후변동 등의 환경적 요인도 만성 편도염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비강 및 부비동 수술 후 편도선 주변의 염증이 지속되어 만성 편도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듯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만성 편도염이 발생하게 된다.
1.3. 만성 편도염의 증상
만성 편도염 환자는 인후통, 인후건조, 미각둔화, 전신권태, 피로 등의 증상을 겪는다. 특징적으로 편도가 비대해지고 편도의 음와부위에 화농성 물질이 있다. 편도와 인두 근육의 염증으로 연하곤란이 나타나면서 구강호흡을 하게 된다. 또한 편도와 아데노이드의 만성적인 비대로 인해 수면 시 호흡이 방해받게 된다.
이러한 만성 편도염의 증상들은 일반적으로 열이 없이 지속되는 특징을 보인다. 편도가 비대해지고 음와부의 화농성 물질이 관찰되는 것이 만성 편도염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편도와 인두 근육의 염증으로 연하곤란이 생기고 구강호흡을 하게 되며, 편도와 아데노이드의 만성 비대로 수면 시 호흡 방해를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증상들이 지속되나 대체로 발열은 없는 것이 만성 편도염의 특징이다.
2. 진단 및 검사
2.1. 임상 증상 및 이학적 검사
편도염의 임상증상은 급성편도염과 만성편도염으로 구분된다. 급성편도염의 경우 인후통,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 전신권태와 불편감 등이 7~10일간 지속된다. 촉진 시 경부림프절 비대와 압통이 관찰되며, 시진 결과 편도의 염증과 비대, 인두염증, 구개의 발적과 부종 등이 나타난다.
만성편도염의 경우 인후통, 인후건조, 미각둔화, 전신권태, 피로 등의 증상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열은 없다. 특징적으로 편도가 비대되고 음와부위에 화농성 물질이 존재하며, 인두 근육의 염증으로 인한 연하곤란과 구강호흡, 수면시 호흡방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연쇄상구균에 의한 편도염의 경우 전혈구 검사(CBC), 편도 분비물의 배양과 민감도검사, mono-spot 검사, 흉부 방사선촬영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검사 결과 항연쇄상구균용혈소 O 항체수치(ASO) 증가, 인후배양에서 용혈성연쇄상구균 반응 양성, 적혈구침강속도 증가, 백혈구 수 증가 등이 나타난다.
2.2. 영상 검사
방사선 검사는 아데노이드와 편도의 비대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