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만성신부전과 혈액투석
만성신부전은 신장의 손상으로 정상적인 신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이 감소되는 상태이다. 만성신부전의 증상으로는 전신 쇠약, 식욕상실, 오심·구토, 가려움증, 고혈압, 부종, 호흡곤란, 두통, 성욕 감퇴, 소변 횟수 변화(증가 또는 감소), 졸림, 설사 등이 있다. 만성신부전의 치료법으로는 식이요법 및 수분조절, 약물, 혈액투석, 복막 투석, 신장이식 등이 있다.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 환자의 대표적인 치료법 중 하나로, 신장의 기능을 대신하여 혈액 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한다. 혈액투석 환자는 자칫하면 뼈 질환, 빈혈악화, 내분비적 이상 및 영양 결핍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철저한 영양 관리가 필요하다.
1.2. 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식이교육의 필요성
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식이교육의 필요성이다. 혈액투석 환자는 신장의 기능 상실로 인해 수분, 전해질, 노폐물 배설 능력이 저하되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한 철저한 식이요법이 필요하다. 첫째, 혈액투석 환자는 자칫하면 뼈 질환, 빈혈악화, 내분비적 이상 및 영양 결핍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철저한 영양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투석 환자는 신장의 수분과 노페물 제거 기능이 거의 없어 투석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도의 음식만을 섭취하도록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식이교육이 필수적이다.
2. 혈액투석 환자의 영양관리
2.1. 단백질 섭취
혈액투석 환자는 투석 과정에서 단백질이 손실되므로 적절한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다. 지나치게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면 빈혈이나 영양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투석 중 노폐물 축적을 막기 위해 단백질을 과다하게 섭취해서도 안 된다.
혈액투석 환자의 1일 단백질 필요량은 1.1~1.4g/kg 표준체중(체중 60kg 기준 60~70g)이다.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고기, 생선, 계란, 두부, 콩, 우유 등을 들 수 있다. 단백질 섭취 시 과다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적절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수분 섭취 제한
혈액투석을 하는 경우 소변량이 감소되거나 거의 무뇨상태가 되므로 수분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소변량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마시게 되면 부종에 의하여 체중이 증가되고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 과다한 체중증가 시 투석을 통해 많은 양의 수분을 빼주어야 하므로 혈압 강하나 근육경련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수분 허용량은 전일 소변량 +500ml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분 종류는 물, 얼음, 주스, 아이스크림, 국, 청량음료 등 다양하지만, 깊은 컵을 사용하고 빨대를 이용하여 천천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 수분 섭취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싱겁게 먹기, 갈증 시 얼음을 입에 넣고 천천히 녹여 먹기, 살짝 얼린 레몬 조각에 설탕을 묻혀 먹기, 허용된 양의 과일을 차게 하거나 얼려 먹기, 차가운 물로 입을 헹군 후 뱉기, 실내 습도 높이기, 국물보다는 건더기 위주로 먹기, 한 번에 많이 마시지 말고 여러 번에 나눠 마시기 등이 있다.
2.3. 염분 섭취 제한
혈액투석을 하게 되면 소변량이 감소하거나 거의 무뇨상태가 되므로 과다한 염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