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법정복리후생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복리후생의 개념과 특성
1.2. 기업복지의 유형과 성격
1.3. 법정복리후생제도의 필요성
2. 본론
2.1. 법정복리후생제도의 구성
2.1.1. 의료보험료 지원
2.1.2. 연금보험료 지원
2.1.3. 산업재해보상보험 지원(산재보험)
2.1.4. 고용보험료 지원
2.2. 법정외복리후생제도
2.2.1. 생활원조시설
2.2.2. 금융 및 공제제도
2.2.3. 보건위생시설
2.2.4. 문화·체육·오락시설
2.3. 새로운 복리후생 전략
2.3.1. 카페테리아식 복리후생
2.3.2. 홀리스틱 복리후생
2.3.3. 라이프 사이클 복리후생
3. 결론
3.1. 복리후생제도의 발전 방향
3.2. 법정복리후생과 법정외복리후생의 균형
3.3. 기업복지와 국가복지의 연계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복리후생의 개념과 특성
복리후생이란 종업원의 노동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간접적인 보상으로, 기업이 종업원의 생활의 안정과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업원과 그 가족에게 제공하는 직접적 보상인 임금 이외의 모든 보상과 서비스를 말한다.
복리후생은 기업의 공동체 원리를 전제로 한 국가사회보장제도의 일환으로서 사회적 임금, 종업원 급부, 복지후생, 후생복리, 기업복지, 종업원복지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노동에 대한 직접적 보상인 임금을 부가적으로 보완해주는 각종 급부라는 의미에서 부가급부라는 이름도 사용되어왔다.
오늘날 복리후생에 대한 인식은 산업사회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 종업원의 욕구수준 증대와 다양화, 노동력 구성의 변화에 따라 근로시간 등의 기본적 근로조건을 보완함으로써 종업원과 그 가족의 생활의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것이다.
기업의 보상관리 측면에서 오늘날 복리후생이 중요시되고 있는 이유는 첫째, 복리후생이 총보상의 일부로서 노무비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노무비의 통제는 복리후생비의 통제 없이는 불가능하게 되었고, 제품시장에서 가격경쟁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며, 둘째, 종업원의 행위적인 측면에서 보면 복리후생은 우수한 종업원의 확보와 유지, 노동시장에서 경쟁력 확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복리후생의 특성은 기업이 각각 자신의 특성에 따라 제공하는 복지 혜택의 총량을 일컫는데, 이를 구성하는 복지 프로그램과 혜택은 각 기업에 따라 모두 다르다. 또한 기업복지는 기업이 임의로 조직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프로그램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매우 다양한 프로그램의 실시가 가능하여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분류하는 기준도 정해져 있지 않다.
1.2. 기업복지의 유형과 성격
기업복지는 기업이 각각 자신의 특성에 따라 제공하는 복지 혜택의 총량을 일컫는다. 이를 구성하는 복지 프로그램과 혜택은 각 기업에 따라 모두 다르다. 기업복지는 기업이 임의로 조직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프로그램이 정해져있는 것이 아니라 매우 다양한 프로그램의 실시가 가능하다. 기업복지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분류하는 기준은 정해져 있지 않지만, 주로 법률적 강제성 여부, 기본적 노동조건의 성격 여부, 재정 부담 주체 등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국내에서는 고용노동부의 「기업체 노동비용 조사」가 기업복지 현황을 파악하는 대표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이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노동비용은 임금총액, 퇴직급여, 법정 복지비용, 법정 외 복지비용, 채용관련 비용, 교육훈련 비용 등으로 구성된다.
1.3. 법정복리후생제도의 필요성
법정복리후생제도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산업사회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 종업원의 욕구수준 증대와 다양화, 노동력 구성의 변화에 따라 근로시간 등의 기본적 근로조건을 보완함으로써 종업원과 그 가족의 생활의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것이다. 기업의 보상관리 측면에서 볼 때 복리후생은 총보상의 일부로서 노무비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노무비의 통제가 복리후생비 통제 없이는 불가능하게 되었고, 제품시장에서의 가격경쟁력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종업원의 행위적인 측면에서 복리후생은 우수한 종업원의 확보와 유지, 노동시장에서 경쟁력 확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즉, 기업은 상품시장과 노동시장에서 타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 적절한 복리후생관리를 이용해야 한다. 이처럼 기업복지제도는 근로자의 근로조건을 보완하고 생활의 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함으로써 노사관계를 안정화하고 종업원의 이직을 방지하며 우수 인재 확보와 유지, 종업원의 사기와 생산성 향상 등 조직 유효성 제고에 기여한다.
2. 본론
2.1. 법정복리후생제도의 구성
2.1.1. 의료보험료 지원
1979년도 의료보험법을 재정하면서 종업원 500명 이상 고용하는 기업들은 강제적으로 가입해야 하며, 1988년에는 10인 이상 고용하고 있는 기업에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이들 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은 반드시 의료보험에 가입하도록 되어있으며, 의료보험료의 50%를 기업이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2.1.2. 연금보험료 지원
연금보험료 지원은 노령이나 폐질, 또는 사망 등의 경우에 지급하는 것으로서 본인의 노후를 보장하거나 유족의 생활을 안정시켜 주는 것이 그 목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3년에 국민복지연금제도를 제정한 뒤 수차에 미루다 1988년에 '국민연금제도'로 시행하였다. 1992년 이후 부터는 상시 5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장의 사용자는 당연히 국민연금에 가입해야하며, 가입에 따른 부담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50%씩 분담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국민연금제도는 근로자 뿐만 아니라 국민 전체의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보장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연금보험료 지원이 중요한 이유는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에 대비하고 노동력 상실 시 생활에 필요한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여 개인과 가족의 생활안정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근로자들은 은퇴 후의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여 연금보험에 가입하고 그에 따른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는데, 국가와 기업이 이를 지원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연금보험은 사회보장제도의 핵심 축으로 작용하여 국민들의 복지 수준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기업 차원에서도 연금보험료 지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종업원의 노후 생활보장을 통해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이직을 방지함으로써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복지 향상은 결국 기업의 생산성 및 경쟁력 제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법정 연금보험 가입 의무 외에도 추가적인 연...
참고 자료
김영재, 김성국, 김강식(2010), "신인적자원관리," 서울탑북스출판사.
김종희(2007). 인적자본비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곽나래·심재우·고상연(2011), “복리후생비와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상업교육연구」.
조윤영(2017), “복리후생프로그램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 AHP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2013, 피앤씨미디어
조직과 인간관계론,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B3%B5%EB%A6%AC%20%ED%9B%84%EC%83%9D
Lucete, https://blog.naver.com/jju2620/222984253230
<인적자원관리> 교안,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 2022
박상언, 최민오.(2013).가정친화제도의 효과성과 직장.경영학연구,42(2),355-381.
강영걸, 박노율, 김효선.(2012).카페테리아 플랜의 수용에 따른 기업복지 만족에 관한 연구.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119-132.
유계숙(Gye Sook Yoo),한지숙(Ji Sook Han),and 오아림(Ah Rim Oh). "한국과 미국의 유연근무제도 비교 및 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창조와 혁신2.2 (2009): 105-142.
김정혜. "근로자의 가족돌봄 경험과 가족돌봄휴직제도 개선 방안." 법제연구-.52 (2017): 201-240.
이상희( Sang Hee Lee ),and 신지연( Ji Youn Shin ). "우리나라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고찰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아동복지연구4.2 (2006): 1-17.
박현미,and 박진희. "일과 가족의 균형을 위한 노동조합의 역할과 과제." 연구총서2008.13 (2008): 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