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점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점자의 정의와 역사
1.1. 점자의 정의
1.2. 한국 점자의 도입과 발전
2. 점자의 구성과 특성
2.1. 점자의 기본 구조
2.2. 한글 점자의 문법적 특징
3. 점자의 장단점
3.1. 점자의 장점
3.2. 점자의 단점
4.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교육
4.1. 점자 교육의 필요성
4.2. 점자 교육의 방법과 내용
5. 점자 관련 기술과 활용
5.1. 점자 출력 및 입력 기술
5.2. 점자 활용 분야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점자의 정의와 역사
1.1. 점자의 정의
점자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점자는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문자이다. 점자는 6개의 점(세로로 3점, 가로로 2점)으로 구성되며, 각 점에는 1부터 6까지의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 6개의 점을 조합하여 64개의 점형을 만들어내며, 이 점형에 의미가 부여된 문자이다. 점자는 묵자와 구조적으로 다르며, 초성 자음과 종성 자음이 다르게 제자되어 있고, 약자와 약어를 활용하여 부피를 줄이고 읽기와 쓰기 속도를 증가시키는 특징이 있다.
1.2. 한국 점자의 도입과 발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점자가 도입된 것은 1894년 미국인 선교사 홀 여사에 의해서이다. 그녀는 4점식 뉴욕 점자를 바탕으로 한글 점자를 고안하여, 평양에서 맹인 소녀에게 점자를 가르쳤다. 1913년 제생원에 근무하던 교사 박두성은 일본의 6점식 점자를 도입하여 교육하면서 한글 점자 연구에 착수하였다. 1923년 박두성은 자음은 3점, 모음은 2점으로 구성된 '3·2점식 점자'를 발표하였으나, 동일한 점형이 자음과 받침에 사용되어 혼동이 일어났다. 이에 박두성과 제자들은 다시 연구에 나서서 1926년 11월 4일 '훈맹정음'이라는 이름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글 점자의 근간이 되는 안을 반포하였다.
광복 이후에는 국립서울맹학교의 교사들을 중심으로 점자의 정비와 발전이 이루어졌다. 1947년 이종덕, 전태환 교사가 한글맞춤법에 따라 점자를 정비하고 약자 점자를 정리하였다. 1959년 문교부 편수국에서 '점자 악보 기록법'을 번역 출간하였고, 1963년 이성대 교사가 고문 점자를 개발하였다. 1967년 한문제 교사가 정리한 수학 점자가 채택되었고, 1973년 김천년 교사가 '점자 이과 기호'를 발표하였다. 1979년에는 대학예비고사 점역을 위해 맹학교 교사들이 모여 수학과 과학 점자 기호를 보완하였다. 1983년 문교부 보고서로 '한국점자통일안'이 제출되었고, 1994년에는 임안수 교수가 컴퓨터 점자, 국악 점자, 외국어 점자 등을 추가한 '개정 한국점자통일안'을 발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997년 12월 문화체육부가 '한국점자규정'을 고시하였으며, 2006년 6월 '개정 한국점자규정'이 고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점자의 구성과 특성
2.1. 점자의 기본 구조
점자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점자는 6점(세로로 3점, 가로로 2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왼쪽 위에서 아래로 1, 2, 3점,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4, 5, 6점의 번호를 붙여 사용한다. 이 6개의 점을 조합하여 64(26)개의 점형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점자는 많은 점형으로 이루어진 문자이며, ...
참고 자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한글점자의 이해. 박중휘.
특집 장애인 언어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 - 점자의 세계. 김호식. 2010
한국점자도서관(http://infor.kbll.or.kr/info/braille.php)
점자세상(http://www.braillekorea.org/02_meaning/history.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