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GDM 및 IDM 산모 신생아실 케이스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GDM 산모의 특성
2.2. 당뇨병 산모 신생아의 병태생리
2.3. 당뇨병 산모 신생아의 임상증상
2.4. 당뇨병 산모 신생아의 합병증
2.5. 당뇨병 산모 신생아의 치료 및 간호중재
3. 대상자 사례
3.1. 대상자 간호사정
3.2. 대상자 진단검사 결과
3.3. 대상자 투약정보
3.4. 대상자 간호과정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은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에 의해서 임신 중에 발견되는 당뇨병의 아형으로, 임신 중에 처음 발병되는 다양한 형태의 당대사 장애이다. 이들에 대해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산모와 아이는 정상 산모와 아이보다 신체적 손상의 위험성이 크다.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임산부는 거대아 분만률이 높고, 임신성 당뇨병을 경험했던 여성이 수년 후에 제 2형 당뇨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 문제가 되고있다. 제1형 당뇨병 또는 제 2형 당뇨병 임신부의 경우, 임신 초기의 고혈당은 선천성 기형, 자연유산의 발생과 깊은 연관이 있고, 임신 중후반기의 고혈당은 태아의 불균등 성장과 성숙 장애를 초래하여 주산기 합병증 및 소아 비만, 사춘기 내당증 장애의 발생을 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둘째, 한국의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높아지고 있다.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은 연구에 따라 1% 이하에서 10%까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 이유로는 연구대상을 선택하는 기준의 차이나. 진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에 의한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인종 및 지역 간의 차이도 임신성 당뇨병 유병률의 변화에 기여한다는 주장이 있다. 실제로 몇몇 논문들은 나이와 비만도의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이 인종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한국인 임산부가 체질량지수 및 비만률에서 백인, 흑인, 라틴계 여성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한국인 여성이 백인 여성과 비슷한 체질량지수 또는 비만률을 갖는다면 임신성 당뇨병 유병률은 매우 높아질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한국인 임산부에서의 임신성 당뇨병은 결코 드문 질환이 아니며, 발병시에는 산모와 아이 모두에게 큰 영향을 주므로,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산모와 산모의 아이에 대해서 예방법과 관리방법, 간호의 연구가 꾸준히 실행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1.2. 연구의 목적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은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에 의해 임신 중에 발견되는 당뇨병의 아형이다. 이들에 대해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산모와 아이는 정상 산모와 아이보다 신체적 손상의 위험성이 크다.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임산부는 거대아 분만률이 높고, 임신성 당뇨병을 경험했던 여성이 수년 후에 제2형 당뇨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 문제가 되고 있다.
둘째, 한국의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높아지고 있다.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은 연구에 따라 1% 이하에서 10%까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연구대상을 선택하는 기준의 차이나 진단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뿐만 아니라 인종 및 지역 간의 차이에도 기인한다.
따라서 이제 한국인 임산부에서의 임신성 당뇨병은 결코 드문 질환이 아니며, 발병 시에는 산모와 아이 모두에게 큰 영향을 주므로,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산모와 산모의 아이에 대해서 예방법과 관리방법, 간호의 연구가 꾸준히 실행되어야 한다.
2. 본론
2.1. GDM 산모의 특성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은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에 의해 임신 중에 발견되는 당뇨병의 아형이다. GDM 산모는 정상 산모와 아이보다 신체적 손상의 위험성이 크다. GDM 산모는 거대아 분만률이 높고, GDM을 경험했던 여성이 수년 후에 제2형 당뇨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의 GDM 유병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연구대상을 선택하는 기준의 차이나 ...
참고 자료
장학철. (2002). 한국인 임신부에서 임신성 당뇨병의 임상적 의미와 진단. 여성건강, 3(1), 157-177.
장남수, 김성혜, 김유리. (2001). 임신성 당뇨병환자의 신체적 특성과 식습관. 한국영양학회지, 34(2), 158-164.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제8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16.02.22 출판.
김미예, 구현영, 권인수 외 7명, 신생아간호학, 수문사, 2014년도 촐판.
강릉아산병원 건강의학센터, <신생아 난청 선별검사>, 검색일 2018년 4월 29일 오전2시.
박수경, 한양메디컬리뷰, “신생아 난청과 신생아청각선별검사”, Hanyang Med Rev 2015;35:72-77
김영혜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14.
김희숙 외, ‘아동청소년간호학2’, 군자출판사, 2013.
대한신생아학회, ‘신생아 진료지침’, 광문출판사, 2008.
박은숙 외, ‘아동간호학 임상가이드’, 현문사, 2011.
이애경 외, ‘신생아실 실습 매뉴얼’, 수문사, 2011.
최명애 외, ‘임상약리학’, 엘스비어코리아, 2012.3
http://www.druginfo.co.kr/
http://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