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말하기 과제 유형 초중고급 학습자 제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Nunan(1980)의 과제 구성 요소
2.2. 기능적 의사소통 과제의 유형
2.3. 초·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가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함께 한국어를 구사할 때 정확하고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초급 학습자는 기본적인 어형 변화에 대하여 암기하고 반복 연습을 통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그 이상의 학습자는 문법적 이해 없이는 정확한 의사를 표현하거나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다. 교착어 성격이 강한 한국어는 어미와 조사가 정교하고 풍부하게 발달되어 문장 문법적 관계와 더불어 전체 문맥의 의미를 보태는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이러한 한국어 문법 어형과 함께 다양한 어미, 조사 활용, 그와 연결될 수 있는 문법과 어휘적 관계에 대하여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반복 훈련을 통하여 정확한 의사소통을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2. 본론
2.1. Nunan(1980)의 과제 구성 요소
목표(Goals)란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교육내용과의 관련성을 정확하게 나타내야 한다. 하나의 과제가 꼭 하나의 목표를 가질 필요는 없고, 일정한 목표를 가져야 학습자가 내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입력(Input)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과제 활동에 필요한 기초 자료이다. 이러한 입력 자료는 대화와 같은 언어적 자료와, 사진과 같은 비언어적 자료로 구분된다. 또 지하철 노선표, 여행안내...
참고 자료
임화정(2009), 과제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 지도 방안
이희원(2009), 초급 한국어 말하기 수업 내 학습자간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과제 활용 연구
김보은(2017),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추지영(2019),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과제 분석 연구
정미진(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세종한국어 2, 49-60페이지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강의교안/배론원격평생교육원
프랑스어 발음 학습에 간섭현상으로 작용하는 몇 가지 한국어 음운현상에 대한 고찰/송근영/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2010년11월
프랑스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들의 발음교정을 위한 몇 가지 방법/김현주/프랑스어문교육/2024년